Data Loading...

열처리용어집 Flipbook PDF

열처리용어집


131 Views
35 Downloads
FLIP PDF 1.24MB

DOWNLOAD FLIP

REPORT DMCA

가 가공 경화, strain hardening, 歪硬化 냉간 가공, 즉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소성 가공할 때 소재의 경도와 강도가 증가되는 현상 . 가공 경화, work hardening, 加工硬化 냉간 가공에 의해 소재가 경화되는 현상. 가공 경화 지수, strain hardening exponent, 歪硬化指數 n 진응력과 진변형과의 관계식, σ= Kε 에서의 n값. 가공 균열, work crack, 加工割れ 가공에 의해 나타나는 균열. 가공 열처리, thermomechanical treatment, 加工熱處理 소성 가공과 열처리를 유기적으로 조합시킴으로써 강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조작 (TMT처리). 준안정 오스테나이트의 온도 범위에서 소성 가공한 후 퀜칭하여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일으키게 하는 오스포밍이 대표적인 것이다. 또 고탄소 냉간 압연강재인 경우와 같 이 비교적 좁은 경도 범위에 알맞도록 하기 위해 어닐링한 후 냉간 압연을 하든가 냉간 압 연 후 특별한 조건에서 어닐링을 하든가, 또는 이 두가지를 함께 써서 중간 성질의 것을 얻 는 방법도 있다. 가공 응력, work stress, 加工応力 가공에 의해 소재에 생기는 내부 응력. 가단성, forgeability, 可鍛性 단조의 난이성. 가단화, malleablizing, 可鍛化 백선을 가단 주철로 만들기 위한 어닐링 처리. 백선을 장시간 가열하여 백선 내의 화합 탄 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흑연화하거나 또는 표면에서 탈탄시켜 가단 주철을 만든다. 가속 냉각, accelerated cooling, 加速冷却 주로 두꺼운 판의 압연 공정에서 하는 제어 냉각으로서, 제어 압연에 이어서 변태 온도 구 역을 공랭보다 빠른 냉각 속도로 냉각함으로써 강의 미세 조직을 조정하고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는 냉각임. 다만 가속 냉각 장치를 써서 압연 라인 위에서 단지 급랭시켜 퀜칭 처리 를 하는 냉각법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가스 발생 장치, gas generator, ガス変成爐 가스 침탄시에 분위기 가스에 사용하기 위해서 프로판, 부탄 등 탄화 수소 가스를 사용하여 흡열형 및 발열형 가스를 발생시키는 장치. 가스 분위기, gas atmosphere, ガス雰圍氣 광휘 열처리 및 표면 경화 열처리에 사용되는 노내의 혼합 가스 분위기. - 1 -

가스 시안화 처리, gas cyaniding, ガス靑化 가스 침탄 질화 처리의 잘못된 표현. 가스 질화, gas nitriding, ガス窒化 가스 분위기 속에서 질소를 표면에 침투시키는 처리 가스 침질 탄화, gas nitrocarburizing, ガス軟窒化 가스 분위기 속에서 강재 표면에 질소와 소량의 탄소를 첨가하여 침투시키는 처리. 가스 침탄, gas carburizing, ガス浸炭 저탄소강을 탄소 함유량이 높은 가스 분위기 속에서 가열함으로써 강재 표면에 탄소를 침투 시키는 처리. 일반적으로 일산화탄소, 메탄, 프로판, 부탄 가스 등이 쓰인다. 가스 침탄제, gas carburizer, 氣體浸炭劑 일산화탄소, 메탄, 프로판 등과 이들의 혼합물에 공기를 혼입하여 사용하는 침탄제. 가스 침탄 질화, gas carbonitriding, ガス浸炭窒化 가스 분위기 속에서 강재 표면에 탄소와 질소를 동시에 침투시키는 처리. 가스 퀜칭, gas quenching, ガス燒入 가스에 의한 퀜칭 처리 가압 액체 질화, liquid pressure nitriding, 加壓液體窒化法 질화용 염욕에 압력을 가해서 행하는 액체 질화 처리 가압 질화, pressure nitriding, 加壓窒化法 압력을 가하면서 행하는 가스 질화. 파이프의 내벽을 질화시킬 때에는 관 내에 액체 암모니 아를 넣고 밀폐시킨 후 가열한다. 파이프 외벽을 질화시킬 때에는 파이프를 밀폐된 상자 속 에 넣고 암모니아 가스를 고압으로 주입시킨 뒤 가열한다 가열 곡선, heating curve, 加熱曲線 가열 중 시간 경과에 따른 온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 가열 뒤틀림 시험, heating warpage test, 加熱灣曲試驗 축을 가열 회전하여 뒤틀림을 측정 시험하는 방법 가열 속도, heating rate, 加熱速度 가열하여 승온시키는 속도 가열 온도, heating temperature, 火加減 열처리하기 위해 가열하는 온도 가열 응력, heating stress, 加熱應力 가열할 때 생기는 응력 가열 직선 교정, thermal straightening, 가열ひずみ取り - 2 -

퀜칭후에 휨 변형이 발생된 강을 천천히 가열하여 조직 변화와 체적 변화를 이용하여 강재 의 변형을 직선으로 교정하는 방법. 가열 착색, heat tinting, 加熱着色法 가열하여 산화 착색하는 방법 각형 탄화물, angular carbide, 角形炭化物 고속도강을 고온(1300~1320℃)에서 장시간 가열한 경우 입계가 일부 용융되어 입계에 나타 나는 각형의 탄화물. 간접 변태, indirect transformation, 間接変態 결정입자의 크기나 수가 바뀌는 변태. 예를 들어 α상이 β상으로 변태할 때 한 개의 α입자가 몇개의 β입자로 나누어져 입자 개수가 늘어나는 변태 갈바나이징, galvanizing, ガルバナイジング 철 표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용융 아연 도금법. 보통 철 표면을 산세하여 스케일을 제 거한 후 약한 염산이나 강한 염화 아연액에 침지하고 건조시킨 후 약 490℃ 이하의 온도로 유지된 용융 아연조에 침지시켰다가 꺼낸다. 황산염 용액 속에서 전기 도금으로 아연을 피 복할 때도 있다. 갈바나이징 취성, galvanizing embrittlement, 亞鉛めっきぜい性 용융 아연 도금에 의해 재료가 취성을 일으키는 현상 갈바닉 부식, galvanic corrosion, 電氣化學的腐食 전해질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이종 금속이 접촉하고 있을 때 각종 금속의 이온화 경향 의 차이로 인하여 기전력이 발생하여 양극이 본래의 화학 부식에 의한 침식당하는 현상 갈바닐링, galvannealing, ガルバニ-リング 용융 아연 도금후 행하는 어닐링 처리 감마(γ)철, gamma (γ) iron, γ鐵 철의 동소체로서, A3 와 A4 변태점 사이에 존재하는 면심 입방 결정 구조(FCC)를 갖는 철. 강박법, steel foil process, 鋼箔法 두께가 5/100㎜이고, 탄소량이 1% 및 0.1%인 탄소강 박판을 이용한 탈탄 및 침탄시험 방법 강인화, toughening, 强靭化 퀜칭후 비교적 고온에서 템퍼링하여 강재에 인성을 부여하는 처리 강제 공랭, forced air cooling, 强制空冷 송풍 장치로 바람을 보내어 냉각하는 처리 개량 마르퀜칭, modified marquenching, 改良マルクエンチ 마르퀜칭의 개량형으로, Ms점 직하 110~130℃ 부근의 염욕으로 퀜칭 후 이 온도에서 사방 25mm당 5분간의 비율로 유지 후 꺼내어 공랭함. - 3 -

개량 오스템퍼링, modified austempering, 改良オ-ステンパ오스템퍼링을 개량한 열처리 (승강 계단식 오스템퍼링) 개재물, inclusion, 介在物 고체 중의 불순물 건식 퀜칭, dry quenching, 乾式燒入れ 퀜칭할 때 냉각제로 액체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와 같은 건조 매체로서 퀜칭하는 처리. 건식 템퍼링, dry tempering, 乾式燒もどし 공기 또는 가스 속에서 행하는 템퍼링. 건조, stoving, 焙り燒き 수분 등을 제거하기 위해 낮은 온도(200~300℃)로 가열하는 처리. 격자 상수, lattice constant, 格子定數 결정 구조의 단위가 되는 것을 단위 세포(unit cell)라 하고, 세변의 길이와 세변의 사잇각을 나타내는 공간 격자 특유의 상수. 결정, crystal, 結晶 원자 또는 분자가 삼차원적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고체. 결정이 많이 모여 있으면 다결정 체라 하고, 그 하나 하나는 결정립이라 부른다. 결정 격자, crystal lattice, 結晶格子 결정에서 같은 종류의 원자나 분자를 격자점으로 보고 격자점을 배열시킨 구조 결정계, crystal system, 결정체를 결정축의 벡터로 구분하면 7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 7가지에는 입방체(立方體, cubic), 정방체(正方體, tetragonal), 사방체(斜方體, orthorhombic), 능면체(菱面體, rhombohedral), 육방체(六方體, hexagonal), 단사체(單斜體, monoclinic), 삼사체(三斜體, triclinic)가 있다. 결정 구조, crystal structure, 結晶構造 결정을 이루고 있는 원자나 분자의 배열 상태. 이런 상태를 점으로 나타낸 것이 결정 격자 이다. 결정립, grain, 粒子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진 다면체. 일반적인 금속 재료는 수많은 결정립으로 되 어 있다. 결정립 조대화, grain coarsening, 粒子粗大化 평균 결정립 크기가 증가하는 현상. 결정립 성장, grain growth, 結晶粒成長 결정립이 성장하는 현상. 일반적으로 결정립의 크기는 온도가 상승하면 커지며, 어떤 온도 이상에서는 결정립들끼리 서로 병합하여 매우 큰 결정으로 성장할 때도 있다. - 4 -

결정립 미세화, grain refining, 結晶粒微細化 결정립을 미세화하기 위한 열처리 또는 미세화되는 현상 결정립 미세화 온도, grain refining temperature, 結晶粒微細化溫度 조직의 미세화 특히 결정립의 미세화를 위하여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하는 온도 결정립의 미세화, structural grain refining, 組織 結晶立の微細化 철강 재료의 결정립을 미세화할 목적으로 오스테나이트화 후 적당한 속도로 냉각하는 처리 결정립 크기, grain size, 結晶粒度 결정립의 크기는 결정립의 평균 직경이나 결정 입도 번호로 나타낸다. 결정립의 크기는 금 속 재료의 기계적 성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결정립의 크기는 대별 하여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한가지는 페라이트 결정립의 크기로서 순철이나 저탄소강 에서의 페라이트 결정립의 크기를 말하며, 이것은 경도나 디프 드로잉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른 한 가지는 고탄소강이나 저합금강에서의 결정립 크기로서 변태하기 전 고온에서 존재하였던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의 크기를 말한다. 결정 성장, crystal growth, 結晶成長 액체, 기체, 고체 상태에서 일어나는 결정의 성장. 결정립계, grain boundary, 結晶粒界 다결정에서 결정립과 결정립 사이의 경계. 결정립계에는 많은 경우 제 2의 원소들이 편석하 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결정립 내부보다 에너지가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산(酸)으로 에칭을 하면 우선 부식이 되어 현미경으로 조사할 때 검은 선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소성 변형시 소성 변형을 억제하는 역할도 한다. 결정립계 용융, grain boundary liquation, 結晶粒界液化 철강 재료를 과열하였을 때 결정립계가 용융되는 현상 결정 입도 번호, grain size number, 結晶粒度番號 결정립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의 하나로, 100배 현미경하에서 조사할 때 1 in2(25x25mm2) 의 넓이에 존재하는 결정립의 숫자를 말한다. 경년 변화, secular change, 經年変化 열처리 후 상온에 방치하였을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료의 성질이 열화하는 현상. 경도, hardness, 硬さ 재료의 딱딱함을 나타내는 정도의 수치. 보통 많이 쓰이는 경도로는 브린넬 경도, 로크웰 경 도, 비커스 경도 및 쇼아 경도 등이 있다. 경도 계수, hardness factor, 硬度係數 퀜칭했을 때 경도에 미치는 화학 성분의 영향 경도 구배, hardness gradient, 硬度勾配 절단면 상에서 표면으로부터 측정한 거리에 대한 경도값의 변화 - 5 -

경도 시험, hardness test, 硬さ試驗 경도를 측정하는 시험을 말이며 브린넬, 로크웰, 비커스 및 쇼아 경도 시험 등이 있다. 경도 침투 깊이, hardness penetration depth, 硬化した深さ 표면 경화 처리에 의해 형성된 표면층의 경화 깊이 경수, hard water, 硬水 Ca염류와 Mg염류를 비교적 다량으로 함유한 천연수 경점, hard spot, 硬点 열처리된 재료의 표면에 국부적으로 경화된 부분 경화, hardening, 燒入れ 시효, 가열, 냉각 처리 등으로 경도를 높이는 조작. 시효 경화, 석출 경화, 퀜칭 경화, 표면 경화 등이 있다. 경화 깊이, case depth, 硬化深度 표면 경화 처리하여 경화된 층의 두께. 즉 침탄, 질화 또는 고주파 경화 등에 의해 경화된 깊이를 말하며, 기지와 비교되는 경도값으로도 알 수 있고 깊이의 단면을 나이탈(nital)로 부 식시켜 색깔의 변화로도 알 수 있다. 경화 깊이, hardening penetration, 燒入硬化深度 퀜칭에 의해 경화되는 깊이 경화능, hardenability, 燒入性 강재를 경화시키는데 쉽고 어려움의 정도. 즉 열처리에 의해 강재의 경화 깊이와 경도 분포 를 지배하는 능력을 말하며 보통 조미니 시험법으로 평가한다. 경화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 자로는 강의 C%, 결정립의 크기, 합금 원소의 종류와 양 등이 있다. 경화능을 비교하기 위 해서는 이상 임계 직경(DI)을 이용한다. 경화능 곱하기 인자, multiplying factor, 燒入性倍數 합금 원소를 첨가했을 때의 이상 임계 직경과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이상 임계 직경의 비. 일반적으로 경화능 곱하기 인자는 합금 원소가 첨가될수록 증가한다. 경화능 도표, hardenability chart, 燒入性チャ-ト 조미니 시험의 결과로서 Du/D 와 H, D 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 (Du:경화되지 않은 중심 부의 직경, D:환봉의 직경, H:급랭도) 경화능 띠, hardenability band, 燒入性帶 모든 강재는 성분 규격 범위 내에서도 경화능에 차이가 난다. 그 차이의 범위를 말하며, 조 미니 곡선에서 구한다. 즉 경도를 보증하는 허용 범위.(H 띠라고도 함) 경화능 시험, hardenability test, 燒入性試驗法 경화능을 측정하는 시험. KS D 0206 (강의 경화능 시험 방법)을 참조 - 6 -

경화능 지수, hardenability index, 燒入性指數 경화능을 수량적으로 나타낼 때 사용하는 지수 경화능 직선, hardenability line, 燒入性直線 경화 깊이와 환봉의 직경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직선 경화 온도, hardening temperature, 燒入溫度 경화하기 위해서 가열하는 온도 경화 육성, hard facing, 硬化肉盛 내마모성이 좋은 경질 금속을 부품의 표면에 융착시키는 표면 경화 처리 방법 경화 조직, hardened structure, 燒入組織 퀜칭하여 경화된 조직 계단 냉각, stepped cooling, 階段冷却 냉각 과정 중 냉각 속도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처리. 계단 시효, step aging, 階段時效 시효 처리시 각 단계 후 상온까지 냉각시킨 다음, 다음 단계의 시효를 행하는 처리. 계단 어닐링, stepped annealing, 段階燒鈍 중간 온도까지는 천천히 그 이후는 빨리 냉각하는 어닐링 처리. 계단 오스테나이트화, stepped austenitizing, 階段オ-ステナイト化 오스테나이트화를 저온에서 고온으로 점차 단계적으로 행하는 처리. 계단 조질, stepped refining, 段階調質 MS점 직상까지 급랭한 후 곧 템퍼링하는 처리. 계단 퀜칭, stepped quenching, 階段燒入れ 강재를 퀜칭할 때 생기는 변형이나 균열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행하는 경화법. 임계 냉각 속 도로 Ar" 점 바로 위의 온도로 유지된 염욕에 침지시켜서(시간 퀜칭) 부품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가 비슷해지도록 기다린 후에 천천히 냉각한다. 즉 마르템퍼와 같은 조작이다. 고상선, solidus curve, 固相線 상태도에서 고상이 존재하는 구역과 고상과 액상이 공존하는 구역의 경계선 고속도강, high speed steel, 高速度鋼 고속으로 절삭 가공하는 것이 가능한 고성능의 공구강. 대표적인 예로는 소위 18-4-1형 고 속도강인 0.7~0.85%C, 18%W, 4%Cr, 1%V강과 같이 텅스텐이 주 합금 원소인 W계 고속도 강이 있고, 몰리브덴이 주 합금 원소인 Mo계 고속도강이 있다. 고속 충격 경화, velocity impact hardening(VHS), 爆擊硬化法 폭발 충격에 의한 가공 경화 고온 경도, hot hardness, 高溫硬度 - 7 -

고온 상태에서의 경도 고온계, pyrometer, 高溫度計 높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쓰이는 계기의 총칭 고온 취성, hot shortness, 熱ぜい性 고온에서 취성을 나타내어 고온에서 가공하기가 어렵게 되는 현상. 고온 침탄, high temperature carburizing, 高溫浸炭 높은 온도에서 하는 침탄 처리 고용선, solvus, 固溶線 평형 상태도에서 온도에 따라 순금속에 다른 금속 원자가 고용될 수 있는 한계를 나타내는 경계선. 고용체, solid solution, 固溶体 순수한 금속에 다른 금속 원자가 고용되어 하나의 고체상으로 된 합금. 금속 원자가 고용되 는 방법에 따라 치환형 고용체와 침입형 고용체의 2가지가 있다. 치환형 고용체는 용질 원 자가 용매 원자를 치환해 들어가 만드는 합금이고, 침입형 고용체는 용질 원자가 용매 원자 들 사이에 들어가 만드는 합금이다. 철강이 오스테나이트로 존재할 때는 탄소 용질 원자가 철 용매 원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침입형 고용체이다. 고유 결정립 크기, inherent grain size, 先天的粒度 현재에 페라이트와 펄라이트로 존재하던지, 마르텐사이트로 존재하던간에 상관없이, 현재의 상으로 존재하기 전 오스테나이트로 존재할 때의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의 크기 고주파 가열, induction heating, 誘導加熱燒入れ 유도 전류에 의해 간접적으로 자기 발열을 시키는 가열. 고주파 경화, induction hardening, 高周波燒入れ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해 표면을 퀜칭 경화하는 처리. 주로 철강의 임의의 표면 또는 부분 을 퀜칭할 때 사용한다. 철강의 고주파 퀜칭, 템퍼링 가공은 KS B 4902 (철강의 고주파 퀜 칭과 템퍼링 가공)에 규정되어 있다. 고주파 경화, high frequency induction hardening, 高周波燒入れ 고주파 유도 전류를 이용한 표면 경화 처리 고주파 유도로, high frequency induction furnace, 高周波誘導爐 내부에 물이 흐르는 구리 코일의 중앙에 피가열 금속을 놓고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보내어 유도 전류에 의해 금속을 급속히 가열 및 용해시키는 장치. 고주파 저항 가열 경화, high-frequency resistance hardening, 高周波抵抗加熱燒入れ 고주파 전류의 직접 통전에 의한 가열 경화 고주파 템퍼링, induction tempering, 高周波燒もどし 고주파 유도가열에 의한 템퍼링 - 8 -

고체 질화, solid nitriding, 固体窒化 질소를 함유한 고체와 촉진제로 강재 표면을 질화하는 방법 고체 침탄, pack carburizing, solid carburizing, 固体侵炭 목탄과 촉진제를 처리 부품과 함께 침탄 상자에 넣고, 침탄 온도까지 가열하여 침탄시키는 방법. 공기 강제 냉각, air blast cooling, 風冷 가열된 강에 공기를 강하게 불어 넣어서 냉각시키는 처리. 공기 강제 퀜칭, air blast quenching, 衝風燒入れ 가열한 강에 공기를 강하게 불어 넣으면서 퀜칭시키는 처리. 고속도강이나 고크롬강 등과 같이 경화능이 큰 재료에 많이 이용된다. 공기 경화, air hardening, 空氣燒入れ 가열한 강을 공기 속에서 냉각하였을 때 경화되는 현상. 망간, 크롬, 몰리브덴, 니켈 등의 함 금 원소가 많이 첨가되어 경화능이 큰 재료에서 나타난다. 공기 취입 염욕 질화법, aerated bath nitriding, 空氣吹入み液体窒化法 시안화물과 시안산염이 섞인 용융 염욕 속에 펌프로 공기를 취입하여 질화를 촉진시키는 액 체 질화 처리법. 공기 패턴팅, air patenting, 空氣パテンチング 오스테나이트화한 강선을 주로 공기 강제 냉각하여, 미세한 펄라이트 조직으로 변화시켜서 연성을 증가시키는 처리. 납 패턴팅과 비교할 것. 공랭, air cooling, 空冷 가열된 강을 공기 속에 방치하여 냉각시키는 처리. 공기 강제 냉각과 비교할 것. 공석, eutectoid, 共析晶 고용체가 냉각시 결정 구조가 다른 두 종류의 고체상이 동시에 석출하는 상변태. 공석 반응, eutectoid reaction, 共析反應 냉각 중 고용체에서 결정이 다른 두 종류의 고체상이 석출하는 반응이며, 고용체⇌고상(A)+ 고상(B)로 변태하는 반응. 공석 변태, eutectoid transformation, 共析変態 공석 반응에 의하여 일어나는 상변태. 공석 시멘타이트 eutectoid cementite, 共析セメンタイト 강의 오스테나이트에서 공석 반응으로 페라이트와 동시에 생긴 시멘타이트(Fe3C) 공석 페라이트, eutectoid ferrite, 共析フェライト 강의 오스테나이트에서 공석 반응으로 시멘타이트와 함께 생기는 페라이트. - 9 -

공정, eutectic, 共晶 액체를 냉각시 두 종류의 고체가 일정한 비율로 동시에 정출하는 상변태. 공정간 어닐링, inter-process annealing, 工程間燒なまし 냉간 가공시에 소재를 연화시키기 위해 가공 도중에 실시하는 저온 어닐링. 공정 반응, eutectic reaction, 共晶反應 공정 조직을 만드는 반응이며, 용융 금속 ⇌ 고상(A) + 고상(B)로 변태하는 반응. 공정 시멘타이트, eutectic cementite, 共晶セメンタイト 용융된 강에서 오스테나이트와 함께 정출한 시멘타이트. 공정 탄화물, eutectic carbide, 共晶炭化物 용융 금속에서 공정 반응에 의하여 생긴 탄화물. 공정 흑연, eutectic graphite, 共晶黑鉛 용융 금속에서 공정 반응으로 오스테나이트와 함께 정출한 흑연 또는 가단 주철의 어닐링 이전에 이미 백주철(백선) 속에 있는 흑연. 후자를 모틀(mottle)이라고도 한다. 공질화, blank nitriding, 空窒化 암모니아 가스나 질소 가스 대신에 중성 가스를 사용하여, 질화할 때와 같은 조작을 하는 처리. 공침탄, blank carburizing, 空浸炭 침탄제 대신에 중성제 또는 보호 도포제를 사용하여, 침탄할 때와 같은 조작을 하는 처리. 꽃무늬, spangle, 花模樣 아연 도금판의 표면에 나타나는 꽃무늬. 과공석, hyper-eutectoid, 過共析晶 2원 상태도에서 공석 변태점보다 오른편의 조성을 의미하는 말. 과공정, hyper-eutectic, 過共晶 2원 상태도에서 공정 변태점보다 오른편의 조성을 의미하는 말. 과냉, supercooling, 過冷 용융 금속의 냉각시 응고 온도(또는 용해도 곡선) 이하까지 액체(또는 고용체 상태)가 계속 존재하는 현상. 이러한 과냉 정도가 한계에 이르면 응고 또는 석출이 일어난다. 과냉 오스테나이트, supercooled austenite, 過冷オ-ステナイト Ar1점 이하에서도 공석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계속 존재하고 있는 불안정한 오스테나이트. 과시효, overaging, 過時效 최대 강도를 나타내는 시효보다 고온에서 또는 오랜 시간동안 과도하게 시효를 행하여 경도 가 감소하는 현상 - 10 -

과열, overheating, 過熱 부품의 여러 성질이 손상될 정도의 고온으로 가열하는 것이며, 과열후 열처리나 기계 가공 또는 가공과 열처리의 조합의 작업으로도 원래 갖고 있던 여러 성질이 회복되지 않을 때는 이 과열을 버닝(burning)이라고 한다. 과열, superheating, 過熱 가열 중 아무런 변태가 일어나지 않고 평형 상태에서 상변태가 일어나야 하는 온도 이상으 로 가열하는 현상. 과 임계 냉각 속도, hyper critical cooling rate, 過臨界冷却速度 임계 냉각 속도보다 더 빠른 냉각 속도. 과잉 침탄, over carburizing, 過剩浸炭 침탄층의 탄소량이 0.8%C 이상으로 된 침탄 처리. 과잉 침탄이 되면 망상(網狀)의 시멘타이 트가 석출하여 강의 기계적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과잉 침탄을 피해야만 한다. 과포화, supersaturation, 過飽和 어떤 온도 또는 어떤 조건하에서 용질 원자가 평형 상태 이상으로 용해 또는 고용되어 있는 준안정 상태. 과포화 고용체, supersaturated solid solution, 過飽和固溶体 용질 원자가 과포화 상태로 고용되어 있는 준안정 고용체. 보통 고온의 고용체를 급랭시키 면 과포화 고용체가 된다. 이러한 과포화 고용체는 불안정하기 때문에 시효 또는 템퍼링에 의해 쉽게 제 2상을 석출하려 한다. 과포화 탄화물, supersaturated carbide, 過飽和炭化物 평형 농도 이상으로 C가 고용되어 있는 탄화물. 광 고온계, optical pyrometer, 光高溫計 불꽃색 또는 가열된 상태의 물체에서 발산하는 빛의 색깔을 표준 광도와 비교함으로써 온도 를 측정하는 장치 광휘 어닐링 bright annealing, 光輝燒なまし 강 표면의 산화, 탈탄 방지, 금속 광택을 유지하기 위하여 환원성 분위기, 중성 가스 또는 진공 속에서 하는 어닐링. 주로 얇은 판재나 끝마무리 제품에 적용한다. 광휘 열처리, bright heat treatment, 光輝熱處理 금속의 표면 산화를 방지하여 열처리하기 전과 같은 상태의 금속 광택을 얻기 위하여 환원 성 분위기, 중성 가스, 또는 진공 속에서 가열 또는 냉각을 행하는 열처리의 총칭. 광휘 퀜칭, bright quenching, 光輝燒入れ 강의 표면 산화나 탈탄을 방지하여 금속 광택을 유지하기 위하여 진공로 속에서 가열한 후 광휘 퀜칭유 속으로 급랭하는 처리. 광휘 퀜칭유, bright quenching oil, 光輝燒入油 광휘 퀜칭에 사용하는 기름. - 11 -

구상 시멘타이트, spheroidal cementite, 球狀セメンタイト 모양이 둥글게 구상화된 시멘타이트. 철강 내의 시멘타이트가 구상화된 상태로 존재하면 층 상으로 존재할 때에 비해 경도는 낮지만 연성이 좋아지게 되어 상온에서 가공하기 쉬어진 다. 그러나 탄성한이나 강도는 저하한다. 구상 탄화물, spheroidal carbide, 球狀炭化物 구상화된 탄화물. 주로 주철 및 강에서 탄화물을 구상화 시키는 경우가 많다. 구상 트루스타이트, nodular troostite, 結節狀トル-スタイト 강의 퀜칭 조직에서 마르텐사이트와 공존하는 미세한 펄라이트 조직.(현재는 이러한 단어를 잘 쓰지 않으며 그냥 미세 펄라이트라 부른다.) 구상 펄라이트, spheroidite, スフェロイダイト 페라이트 기지에 조대한 구상 시멘타이트 또는 구상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조직을 총칭하여 말한다.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Ac1 온도 바로 아래서 오랜 시간 유지하거나 구상화 처리를 행하여 이러한 조직을 얻을 수 있다. 구상 펄라이트, globular pearlite, 球狀パ-ライト 펄라이트의 시멘타이트가 구상으로 존재하는 펄라이트. 구상화, globularizing, 球狀化 탄화물을 구상화시키기 위한 열처리 구상화 어닐링, spheroidizing annealing, 球狀化燒なまし 탄화물을 구상화 시키기 위한 어닐링. Ac1점보다 20~30℃ 아래의 온도에서 장시간 유지한 다음 냉각한다. 구상화 처리, spheroidizing, 球狀化 강재 내의 탄화물을 구상화하기 위한 모든 열처리. 강을 구상화 처리를 행하면 강의 인성이 증대되고, 가공성이 좋아지며, 공구의 성질이 좋아진다. 구상화 처리 방법에는 다음 5가지 방법이 있다. 1. Ac1점 바로 위의 온도로 가열한 뒤 천천히 냉각한다(강이 펄라이트 조직을 갖고 있을 때). 2. Ac1점의 20~30℃ 아래의 온도에서 장시간 유지한 다음 냉각한다. 3. A1점의 바로 위의 온도로 가열한 뒤, A1점의 바로 아래 온도로 냉각하는 과정을 반복한 다. 4. 오스테나이트 온도에서 퀜칭한 뒤 과도한 템퍼링을 행한다. 5. 오스테나이트 온도에서 퀜칭한 뒤 등온 변태를 이용한다. 구상 흑연, nodular graphite, 球狀黑鉛 Mg 등으로 처리해서 제조한 구상 흑연 주철에 생기는 조밀한 구상의 흑연. 일명 spheroidal graphite라고도 함. 국부 석출, localized precipitation, 局部析出 과포화 고용체에서 연속 석출을 행하여 국부적으로 일어난 석출 - 12 -

국부 템퍼링, localized tempering, 局部燒もどし 필요한 부분만을 템퍼링하는 처리 국화 조직, chrysanthemum structure, 菊目組織 주철에서 흑연이 국화꽃 모양으로 정출한 조직 규칙 경화, order hardening, 規則硬化 기지 조직 내에서 용질 원자가 단범위 규칙을 형성하여 경화를 일으키는 현상으로 저온에서 실시하는 처리. 규칙-불규칙 전이, order-disorder transition, 秩序-無秩序 轉移 합금에서 용매 원자와 용질 원자의 배열이 고온에서는 무질서하게 배열하다가 저온이 되면 규칙적인 원자 배열로 바뀌는 현상 균열, crack, 割れ 열처리한 부품에 금이 생겨서 깨지는 현상. 균열로, soaking pit, 均熱爐 균일 가열하기 위한 로. 균열 시간, soaking time, 均熱時間 소정 온도에서 충분히 유지시켜 조직과 성분을 균질화시키는데 걸리는 시간. 균열 처리, soaking, 均熱 소정 온도에서 충분히 유지하여 조직과 성분을 균질화시키는 처리. 균일 가열, temperature equalization, 均一加熱 재료에 온도 기울기가 거의 없도록 전체를 고르게 가열하는 방법. 균일 경화, uniform hardening, 均一燒入れ 각 부분을 균일하게 경화시키는 처리. 균질 침탄, homogeneous carburizing, 透過浸炭 중심부까지 균일한 탄소량으로 침탄하는 처리 균질화, homogenizing, 均質化 소정의 온도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유지함으로써 확산에 의해 편석을 제거하는 처리 그라노라이트 처리, granolite treatment, グラノライト處理 피스톤 링의 표면을 평활하고 다공성을 주기 위한 인산 용액 처리. 글로우 방전 질화, glow discharge nitriding, グロ-放電窒化 글로우 방전을 이용한 질화 처리(플라즈마 질화라고도 함) 긁기 경도, scratch hardness, 引かき硬さ - 13 -

긁기에 의한 상대 경도. 금속박 열처리법, metal-foil heat treating method, 金屬箔熱處理法 열처리할 부품을 얇은 금속박으로 둘러싸서 행하는 열처리 방법. 금속욕, metal bath, 金屬浴 용융 온도가 낮은 금속을 녹인 용융 금속조의 뜻 금속 조직학, metallography, 金屬組織學 광학 및 전자 현미경 등에 의해 금속 재료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 조직을 조사하여 연구하는 학문. 금속 침투법, metallic cementation, 金屬 浸透法 금속 제품의 표면에 피복을 시키기 위해 제품을 금속 분말 속에 넣은 뒤 적당 온도에서 가 열하여 피복 금속을 표면으로부터 확산시켜 피복시키는 방법. 두 금속 사이에는 서로 용해 도가 있어 서로 고용체를 형성할 수 있어야만 한다. 금속 피복법, metallizing, メタライジング 비금속 표면에 용융 금속을 피복시키는 방법. 금속을 피복시키는 방법에는 용사법, 진공 증 착법, 무전해 도금법 등이 있다. 금속학, metallurgy, 金屬學 금속 재료에 관련된 물리 야금, 화학 야금 및 가공 야금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 급랭도, severity of quench, 急冷度 퀜칭액의 냉각 정도를 나타내는 H값. 끝면 경화, end hardening, 斷面燒入れ 경화능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퀜칭 온도까지 가열된 환봉의 한쪽 끝면에 분수로 나오는 물에 퀜칭시키는 것. 기계적 쌍정, mechanical twin, 機械的雙晶 금속을 상온 가공할 때에 생기는 쌍정. 기계적 쌍정은 어닐링 쌍정에 비해 보다 좁은 폭을 갖는 띠로 나타난다. 기계적 조질, mechanical refining, 機械的調質 강의 입자를 미세하게 함으로서 강의 인성을 높이기 위해 소성 가공과 어닐링의 조합으로 행하는 처리. 열조질과 비교해 볼 것. 기름 경화, oil hardening, 油燒入れ 기름 속으로 퀜칭하여 경화시키는 처리 기름 퀜칭, oil quenching, 油冷 기름 속으로 퀜칭하는 처리 기름 템퍼링, oil tempering, 油もどし - 14 -

기름 속에서 행하는 템퍼링 처리 기본 경화능 base hardenability, 基本燒入性 Fe-C계의 탄소량(%)과 결정립도로부터 정해지는 경화능. 기지, matrix, 基地 재료의 그 상태에서 조직의 기본이 되는 부분. 모상이라고도 함.

나 나선 전위, screw dislocation, 螺線轉位 나사 모양의 원자 배열을 갖는 결정내에 존재하는 선결함. 칼날 전위(edge dislocation)와 비 교할 것. 나이탈 부식액, nital etchant, ナイタル 조직 관찰을 위한 현미경용 부식액으로 질산 2~5%를 함유한 알콜 용액. 주로 철강 재료의 미세 조직 관찰에 많이 쓰인다. 납 어닐링, lead annealing, 鉛燒なきし 용융납 중에서 행하는 어닐링 납 퀜칭, lead quenching, 鉛燒入れ 용융납 속으로 급랭하는 퀜칭 납 패턴팅, lead patenting, 鉛パテンチング 용융납에 의한 패턴팅 처리. 강선 제조시 이용한다. 납 프린트, lead print, レッド․プリント 강 중의 납의 분포를 검출하는 인화법 내마모성, wear resistance, 耐磨耗性, 磨耗抵抗 재료가 마찰될 때 생기는 마모 작용에 저항하는 표면 성질. 내부 산화, internal oxidation, 內部酸化 모상 중에서 모상보다도 반응하기 쉬운 분산상이 선택적으로 산화하는 현상. 산소가 있는 분위기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였을 때 일어난다. 내부 응력, internal stress, 內部應力 외부에서 하중을 가함이 없이 재료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응력 내열강, heat resisting steel, 耐熱鋼 강에 Cr, Ni 또는 소량의 Al 을 첨가하여 고온에서도 표면이 안정한 성질을 갖는 강. - 15 -

내열 합금, refractory alloy, 耐熱合金 고온에서 사용되는 합금의 총칭. 내화도, refractoriness, 耐火度 내화물 또는 내화물 원료가 고온에서 연화되는 정도. 내화 벽돌, refractory brick, 耐火れんが 노체의 라이닝에 사용되는 벽돌. 내화 재료, refractory material, 耐火材料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재료 냉각 가공 열처리 anisothermal TMT(Thermomechanical Treatment), 冷却加工熱處理 오스테나이트화 온도에서 연속 냉각하는 도중에 행하는 가공 열처리. 등온 가공 열처리 (isothermal TMT)와 비교할 것. 냉각끝, cooling-off, 冷やし終わり 어닐링 냉각의 마지막 단계에서 경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온도 범위에서 급랭시키는 처리. 냉각능, cooling power, 冷却能 퀜칭에 사용되는 냉각제의 냉각 능력. 냉각 변태, anisothermal transformation, 冷却変態 오스테나이트가 연속적인 온도 강하에 따라 진행되는 변태. 이렇게 시간에 따라 진행되는 변태를 냉각 변태 곡선으로 나타낸다. 냉각 변태 곡선, anisothermal diagram, 冷却変態曲線 오스테나이트가 연속적인 온도 강하에 따라 진행되는 변태를 나타내는 도표. 세로축은 온도,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어 냉각에 의해 오스테나이트가 다른 상으로 변태를 시작하는 시간 과 변태가 끝나는 시간을 나타낸다. 등온 냉각 변태 곡선(S 곡선)과 함께 비교하면서 사용 하면 각종 열처리 방법을 이해하기가 쉽다. CCT 곡선 (continuous cooling transformation curve) 이라고도 한다. 냉각 속도, cooling rate, 冷却速度 고온에서 보다 낮은 온도까지 냉각하는 속도. 냉각되는 온도를 냉각되는 시간으로 나눈 수 치를 말한다. 냉각의 3단계, three stages of cooling, 冷却の3段階 고온의 물체를 액체 속에서 냉각할 때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증기막 형성 단계, 비 등 단계 및 대류 단계의 3단계. 냉각의 3종류, three types of cooling, 冷却の3態 냉각의 방법인 연속 냉각, 계단 냉각 및 등온 냉각의 3 종류. 냉각 응력, cooling stress, 冷却応力 냉각 중에 소재에 발생하는 응력. 냉각 중 국부적인 소성 변형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 16 -

냉각제, coolant, 燒入液 퀜칭할 때 사용하는 냉매. 냉각제의 종류에는 기름, 물, 소금물 등이 있다. 냉간 가공, cold working, 冷間加工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행하는 소성 가공. 냉간 가공을 행하면 재료의 표면이 매끄러워지며 강도는 상승한다. 열간 가공과 비교할 것. 노르말라이징, normalizing, 燒ならし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로 부터 공기 중에 냉각시키는 처리. 그 목적은 앞 가공의 영향을 제거 하고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는데 있다. 철강의 노르말라이징 가공은 KS B 4901 (철강의 노르말라이징 및 어닐링 가공)에 규정되어 있다. 노르말라이징 조직, normalized structure, 燒ならし組織 노르말라이징하여 생긴 조직. 강의 표준 조직이다. 노이만 띠, Neumann band, ノイマン線 철강을 소성 변형, 특히 충격을 주었을 때 생기는 변형폭이 좁은 쌍정. 노점, dew point, 露点 분위기 가스 중의 수증기가 응축하기 시작하는 온도. 가스 침탄에서 노내 분위기의 노점을 측정하면 탄소 포텐샬(carbon potential)을 알 수 있다. 노치 효과, notch effect, 切缺き效果 재료 표면에 있는 요철 부분에 형성된 응력 집중에 의하여 인장, 피로 충격 등의 기계적 성 질이 변하는 효과. 노냉, furnace cooling, 爐冷 가열한 제품을 그대로 노 속에서 매우 천천히 냉각하는 처리. 누프 경도, Knoop hardness, ヌ-プ硬さ 비커스 경도계의 압자를 긴 마름모형의 다이아몬드(정면 정각 172˚30″, 종 횡비 7.11:1, 측 면정각 130˚)의 압흔에 의해 측정된 경도. 침탄층이나 질화층과 같은 얇은 표면 경화층의 경도를 측정하는데 주로 이용된다. 니세코법, Niseko process, ニセコ法 단강품에 인성을 부여하기 위해 적용하는 열처리법. 단강품을 단조한 후 어닐링하고, 다시 Ac1점까지 가열한 후 Ar1점까지 냉각하고, 계속해서 Ac1점과 Ar1점 사이의 온도로 가열한 뒤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열처리법 니켈라이징, nickelizing, ニッケライジング Ni의 전착 처리 니켈 프린트, nickel print, ニッケル․プリント 강 중의 Ni 편석을 검출하는 인화법 - 17 -

다 다결정, polycrystal, 多結晶 다수의 결정립으로 된 집합체. 다단 열처리, multiple heat treatment, 多段熱處理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행하는 반복 가열 처리. 다이 퀜칭, die quenching, 型燒入れ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형에 삽입하여 누르면서 퀜칭하는 처리. 단결정, single crystal, 單結晶 하나의 결정으로 되어 결정립계가 없는 결정. 단계 시효, interrupted aging, 階段時效 온도를 단계적으로 승온시키고 냉각시키며 행하는 시효 처리 단조 경화, forged hardening, 鍛造硬化 단조 온도에서 직접 퀜칭 경화하는 처리. 이 방법은 종래의 단조 후 냉각시킨 것을 재차 가 열함으로서 생기는 산화, 탈탄 등의 문제를 제거할 수 있어서 인성이 좋은 기계 부품을 얻 을 수 있는 방법이다. 탄소강, 구조용 저합금강, 고장력강 등에 쓰이고 있다. 담금질, quenching, 燒入れ 퀜칭 참조. 대리석 모양 파면, marble fracture, マ-ブル․フラクチャ퀜칭된 고속도강에 나타나는 대리석 모양의 파면(비늘 파면). 대차로, car-bottom furnace, 臺車爐 부품을 차대 위에 놓고 장입하여 열처리할 수 있는 배치로. δ철, delta(δ) iron, δ鐵 순철의 동소체로서, A4변태점과 융점 사이에서 안정한 체심 입방 결정 구조를 갖는 철. 도포 침탄, paste carburizing, ペ-スト浸炭 반죽 상태의 침탄제를 강의 표면에 발라서 행하는 침탄 처리. 동소 변태, allotropic transformation, 同素変態 동일 원소의 고체가 온도에 따라 결정 구조가 변하는 현상. 철의 경우 가열하면 상온에서는 BCC 구조를 갖는 α상으로 존재하지만, 910℃ 이상에서는 FCC 구조를 갖는 γ상으로 존재 하고 1390℃와 1534℃ 사이에서는 BCC 구조를 갖는 δ상으로 존재한다 동적 퀜칭, dynamic quenching, 動的燒入法 가열을 급속히 하여 비평형상의 오스테나이트를 퀜칭하는 방법. 고주파 퀜칭 등이 이에 해 당한다. - 18 -

뒤틀림, distortion, ねじり 부품의 치수와 형태가 변하는 것. 뒤틀림, warpage, 燒曲リ 퀜칭에 의해 생기는 뒤틀림 변형. 뜨임, tempering, 燒もどし 템퍼링 참조. 등경도 곡선, iso-hardness diagram, 恒硬度線圖 탄소량이 다른 강의 조미니 시험편에서 동일 경도를 연결시킨 곡선 등온 가공 열처리, isothermal TMT, 恒溫加工熱處理 과냉 오스테나이트 상태의 일정 온도에서 행하는 가공 열처리. 등온 경화, isothermal hardening, 恒溫燒入れ 등온 처리에 의해 과냉 오스테나이트를 경화시키는 처리. 오스템퍼링, 마르템퍼링 등이 이 경화법에 속한다. 등온 구상화, isothermal spheroidizing, 恒溫粒狀化 등온 변태를 이용한 구상화 처리 등온 냉각, isothermal cooling, 恒溫冷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열욕에 의한 냉각 등온 냉각 변태 곡선, isothermal cooling transformation diagram, 恒溫冷却変態曲線 과냉 오스테나이트를 등온 유지하였을 때의 변태 곡선. 등온 변태 곡선(IT 곡선) 또는 S 곡 선이라고도 한다. 등온 노르말라이징, isothermal normalizing, 恒溫燒ならし Ar'점에서의 등온 처리 등온 변태, isothermal transformation, 恒溫変態 오스테나이트를 어느 온도로 급랭한 후 그 온도에서 유지할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 는 변태. 등온 변태 곡선, isothermal diagram, 恒溫変態曲線 오스테나이트를 일정 온도로 급랭시킨 후 그 온도에서 유지할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 나는 변태의 시작점과 끝나는 점을 세로축은 온도, 가로축은 시간으로 나타낸 도표. 형태가 S자이므로 S 곡선이라고도 하며, 또한 시간에 따른 변태를 나타내므로 TTT(Time Temperature Transformation) 곡선이라고도 한다. 냉각 변태 곡선(anisothermal diagram) 또는 연속 냉각 변태 곡선인 CCT(continuous cooling transformation) 곡선과 함께 이용하 면 열처리에 따른 상변태를 이해하기 쉽다. 등온 변태 응력 처리, isothermal trans-stressing, 恒溫変態負荷處理 - 19 -

과냉 오스테나이트에 외력을 가해서 변태를 촉진시키는 등온 처리 등온 변태 표면 경화, isothermal transformation case hardening, 恒溫変態表面硬化法 등온 변태를 이용해서 침탄 부품을 표면 경화시키는 처리. 등온 어닐링, isothermal annealing, 恒溫燒なまし 등온 변태를 이용한 어닐링 등온 열처리, isothermal heat treatment, 恒溫熱處理 과냉 오스테나이트를 일정 온도에서 행하는 열처리의 총칭. 등온 열처리의 종류에는 등온 노르말라이징, 등온 어닐링, 등온 경화 등이 있다. 등온 템퍼링, isothermal tempering, 恒溫燒もどし 템퍼링 온도에서 등온 처리를 행하는 템퍼링 디프 드로잉, deep drawing, 深絞り 얇은 판재를 다이 사이에 넣은 뒤 펀치를 이용하여 컵 형태를 만드는 소성 가공법 띠가열, strip heating, 線條加熱 불꽃 띠로 가열하면서 강판을 굽히는 작업 띠조직, banded structure, 帶狀組織 금속을 소성 가공하였을 때 가공 방향으로 띠처럼 나타나는 편석 조직.

라 레데브라이트, Ledeburite, レデブライト Fe-C 합금에서 오스테나이트와 시멘타이트의 공정 조직.(위스트라고도 함) 레이저, laser, レ-ザ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의 머리 글자를 따서 만든 용어로 서, 방사의 유도 방출에 의해 증폭되어 생성된 광선. 레이저 표면 경화, laser surface hardening, レ-ザ表面硬化 레이저 빔을 강 표면에 조사시켜 표면층을 급속 가열시킨 다음, 자기(自己) 퀜칭에 의해 표 면층이 경화되는 처리. 가열 후 부품 내부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표면이 급속하게 냉각되므 로 얇은 마르텐사이트 층을 형성하게 된다. 로크웰 경도, oRockwell hardness, ロックウェル硬度 꼭지각이 120 인 다이아몬드 콘(cone)이나 1/16인치 직경의 강구를 압자로 사용하여, 압입된 깊이를 직접 경도값으로 환산하여 읽을 수 있도록 측정한 경도. 뤼더스 선, Lüders line, リュ-ダ-ス線 소성 변형에 의해서 금속 표면에 나타나는 다수의 선 - 20 -

림드강, rimmed steel, リムド鋼 탈산 및 기타 가스 처리가 불충분한 용강을 그대로 주형에 주입하여 응고시킨 잉곳트로 서, 주입 후에도 계속해서 다량의 가스가 발생하므로써 비등 작용(rimming action)을 일으 키게 된다. 이 때 형성된 기공인 블로우 홀이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므로 강괴 전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재질이 균일하지 못하므로 보통 0.15%C 이하의 저탄소 구조용강에 사 용된다.

마 마르가공, marworking, マルワ-キング 과냉 오스테나이트 상태에서 소성 가공을 행한 후 다른 상이 석출하기 전에 퀜칭하여 마르 텐사이트 조직을 얻는 처리 마르스트레싱, marstressing, マルストレッシング 내부까지 마르텐사이트가 존재하는 강의 표면을 침탄 또는 질화시켜서 표면의 마르텐사이 트 변태 온도를 낮춘 후 퀜칭한 다음 서브제로 처리함으로써 표면의 마르텐사이트에 압축 잔류 응력을 생기게 하는 처리 마르스트레이닝, marstraining, マルストレ-ニング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갖는 선재를 상온 또는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작은 양의 변형(보통 0.4% 정도)을 주는 가공 처리. 마르에이징, maraging,マルエ-ジング 마르에이징강에 대한 강화 열처리를 말하는 것으로서, 18%Ni 마르에이징강은 탄소량이 0.03% 이하이고, 고Ni강이기 때문에 서냉에 의해서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한다. 이 마르텐사 이트를 450~510℃로 가열해서 약 3시간 정도 시효 처리하면 석출을 일으켜서 매우 강력한 재질을 얻을 수 있다. 마르에이징강, maraging steel, マルエ-ジング鋼 초고장력강의 하나로서, 탄소량이 매우 낮기 때문에 퀜칭 경도가 낮은 것이 특징이므로, Fe-Ni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시효 경화에 의하여 강도를 증가시킨다. 저탄소강이기 때문 에 기계 가공성이 좋아서 마르에이징 처리한 후에도 기계 가공할 수 있다. 마르퀜칭과 템퍼링, marquench and tempering, マルクエンチもどし 마르퀜칭한 후에 템퍼링하는 처리 마르퀜칭, marquenching, マルクエンチ 오스테나이트 상태로부터 Ms 직상의 열욕으로 퀜칭하여 강의 내외가 동일한 온도가 되도록 등온 유지한 후, 과냉 오스테나이트가 등온 변태를 일으키기 전에 공랭시켜서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천천히 진행되도록 하는 처리 방법을 말한다. 강재의 표면과 중심부의 온도는 Ms 온도 직상의 유지 온도까지는 서로 다른 속도로 냉각되지만, 공랭시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 는 도중에는 내외부의 온도 차이가 없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하면 수냉한 마르텐사이트보 - 21 -

다는 경도가 다소 저하되지만, 변태 후 내부 응력이 최소화되므로 열처리 균열이나 변형의 가능성이 매우 적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마르퀜칭 불꽃 경화, marquench flame hardening, マルクエンチ火炎燒入れ 퀜칭할 제품을 Ms 온도로 예열한 다음 불꽃 경화하는 방법 마르퀜칭 스트레싱, marquench stressing, マルクエンチ.ストレッシング 마르퀜칭할 때 과냉 오스테나이트에 응력을 가하여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촉진시키고,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감소시켜서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처리법을 말한다. 마르퀜칭 압연, marquench rolling, マルクエンチ.ロ-リング 마르퀜칭할 때에 과냉 오스테나이트 상태에서 압연 가공하는 처리 마르텐사이트, martensite, マルテンサイト 탄소를 고용하고 있는 체심 정방체의 α철. 즉, 오스테나이트를 Ms 온도 이하로 급격히 냉각하면 Ms 온도에서 페라이트가 형성되기 시작하는데, 이 때 탄소는 확산할 만한 시간 적 여유가 없으므로 이동하지 못하여 α철 내에 고용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그런데 탄 소 원자가 차지할 수 있는 격자 틈자리는 γ철에서보다는 α철에서 더 작기 때문에 격자 가 팽창될 수밖에 없다. 이 때 야기되는 응력 때문에 강의 경도가 증가되어 경화된다. 이 와 같이 α철 내에 탄소가 과포화 상태로 고용된 고용체를 마르텐사이트라고 부른다. 마르텐사이트 구역, martensite range, マルテンサイト區域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일으키는 온도 범위. 즉, Ms~Mf 온도 범위. 마르텐사이트 변태, martensitic transformation, マルテンサイト変態 조직이 오스테나이트에서 마르텐사이트로 바뀌는 변태. Ar″변태라고도 부른다. 마르텐사 이트 변태를 일으키는 온도를 Ms점이라고 한다. 마르텐사이트 템퍼링, martensite tempering, マルテンもどし 퀜칭 템퍼링 조작 (마르텐사이트의 템퍼링) 마르텐시효, martenaging, マルテン時效 Ms~Mf 사이 온도에서의 과냉 오스테나이트의 등온 변태 처리를 말하며, 마르템퍼링과 동 일한 의미이다. 마르템퍼링, martempering, マルテンパMs점 직상 또는 Ms~Mf 사이 온도에서의 과냉 오스테나이트의 등온 템퍼링 처리. 즉, 오 스테나이트화 온도로부터 Ms점 직상 또는 Ms점 이하의 열욕에 퀜칭한 후 변태가 종료되 기까지 등온 유지한 후 공랭하는 처리. 마크로 부식, macro etching, マクロ․エッチング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마크로 조직을 검출하기 위한 부식 마크로 조직, macro structure, マクロ組織 육안 또는 저배율(10배 이하)로 볼 수 있는 조직 - 22 -

말코마이징, Malcomizing, マルコマイジング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질화 처리(질화 처리의 상품명). 즉, 오스테나이트계 또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전처리(퀜칭 템퍼링, 또는 완전 풀림)후 570℃에서 약 30시간 (또는 650℃ 에서 4시간) 암모니아 가스 질화 처리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해서 0.15~0.25mm 정도의 질화층이 얻어지고, 경도는 비커스 경도로 1000 정도를 나타낸다. 망상 시멘타이트, network cementite, 網狀セメンタイト 결정립계에 시멘타이트가 얇게 석출되어 망상으로 보이는 조직 망상 조직, network structure, 網狀組織 a, b 두 종류의 조직 성분에서 b가 a의 결정립계에 고르게 석출하여 망상으로 된 조직 망치 교정, restriking, たたき直し 퀜칭한 부품의 내부 응력 제거와 변형된 부품의 교정을 위하여 망치로 교정하는 작업. 매시브 변태, massive transformation, マッシブ変態 단일상의 모상과 이로부터 형성된 상은 조성이 같고 결정 구조가 다른 결과를 나타내는 단 범위 확산 변태. 머플로, muffle furnace, マップル爐 가열실이 상자 모양으로 되어 앞쪽에 있는 개폐문을 통하여 부품을 장입할 수 있는 열처리 로이며, 부품을 완전히 화염으로부터 차단된 구조의 로. 면심 입방 격자, face centered cubic lattice, 面心立方格子 격자의 8개의 꼭지점과 각 면의 중심에 원자가 1개씩 배열된 입방 격자. 면역 열처리, immunizing, 免疫熱處理 Ti이나 Nb으로 안정화되어 있지 않은 것, 또는 저탄소강이 아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 스강의 용접이나 열간 가공후 815~845℃에서 24시간 이상의 가열을 행하면 입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처리를 면역 열처리라고 한다. 메탈라이징, metallizing, メタライジング 비금속 표면에 용융 금속을 분사시키는 방법. 메탈리콘, metalikon メタリコン 용융된 금속을 고압의 가스나 공기로써 분무시켜서 피복하고자 하는 금속 표면에 부착 응 고시켜 피복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메타코라이징, metacolizing, メタコライジング 주철의 표면에 Al 용사를 하는 방법. 이 처리에 의해서 주철품은 고온 산화에 견디게 된 다. 메탈로이드, metalloid, メタロイド B, Si 등과 같이 성질상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에 속하는 원소나 물질. 열이나 전기를 전달 하는 면에서는 금속에 가깝고, 취약하고 변형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비금속에 가깝다. - 23 -

모래 냉각, sand cooling, 砂冷 모래 속에서 서냉하는 처리. 모래 흠, sand mark, 砂きず 플럭스(flux)나 내화재가 조괴 작업 중에 용강에 혼입되어, 강괴 표면 또는 표면 가까이에서 응고한 것이 압연 후에 강재 표면에서 발견되는 비금속 개재물. 모발 균열, hair crack, 毛割れ 강재의 가공면상에 나타나는 머리카락 모양의 미세한 균열 모퉁이 효과, corner effect, 隅角效果 퀜칭할 때 부품의 요철(凹凸) 부분에서 냉각 속도의 차이 때문에 생기는 효과. 즉, 하나의 제품에서도 부위에 따라 냉각 효과가 다르게 된다. 평면에서의 냉각 속도를 1이라 하면 2면 각에서는 3, 3면각에서는 7 정도로 되어 냉각 속도가 커지는 반면에, 凹면각에서는 오히려 1/3정도로 되어 냉각이 느려진다. 따라서 형상이 복잡한 제품일 때는 위치에 따라 냉각 속 도의 차이가 현저하므로 이로 인한 열처리 변형이나 균열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모스 경도, Moh's hardness, モ-ス硬さ 광석의 경도를 비교하는 기준. 모자이크 조직, mosaic structure, モザイク組織 현미경 조직이 블록의 집합과 같은 구조를 가진 조직. 무확산 변태, diffusionless transformation, 無擴散変態 확산이 수반되지 않는 상변태. 즉, 마르텐사이트 변태와 같이 원자의 이동을 수반하지 않고 격자 자리가 변화되는 변태. 물리적 표면 경화, physical surface hardening, 物理的表面硬化 표면층의 조성은 변화시키지 않고 퀜칭에 의해서 표면층 조직만을 변화시켜서 경화층을 얻 는 방법.(고주파 경화, 화염 경화 등) 미소 경도, microhardness, 微小硬度 비커스 경도 시험에서 500g 이하의 하중을 사용하여 측정한 경도값. 미소 경도 시험기, microhardness tester, 微小硬度計 비커스 경도 시험용의 다이아몬드 압자를 사용하고, 하중은 1kg 이하를 사용하고 있으며, 최소 1g 정도의 하중도 가능하다. 이 방법은 작은 하중 때문에 압흔의 크기가 작으므로, 시 험하고자 하는 금속의 국부적인 부위 또는 상(phase) 만의 경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데 사용 된다. 예를 들면 강 속에서 시멘타이트 만의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미세 결정립, fine grain, 細粒 크기가 작은 결정립. 미세 조직, microstructure, ミクロ組織 광학 또는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되는 조직. - 24 -

미세 펄라이트, fine pearlite, 微細パ-ライト 강을 퀜칭 온도에서 하부 임계 냉각 속도 정도로 냉각하였을 때 A1 변태로 생긴 미세한 조직. 미시 편석, microsegregation, ミクロ偏析 결정립 또는 작은 입자 내에 특정한 원자가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현상. 밀폐 어닐링, pack annealing, 箱なまし 부품을 밀폐된 상자 속에 넣고 그 속에 목탄 또는 사용 기간이 오래된 침탄제 또는 주철 분, 석탄 등 소위 충진제를 충진해서 어닐링하는 처리. 이 방법은 산화나 탈탄을 방지해야 만 하는 고급 공구강이나 특수강의 어닐링에 적용되고 있다. 상자 어닐링과 같은 의미이다. 밀폐 열처리, pack heat treatment, パック熱處理 얇은 스테인리스 강박으로 밀폐된 막힌 통에 열처리하고자 하는 부품을 넣어 행하는 열처 리로서, 산화와 탈탄이 방지되므로 진공 열처리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바 바크, bark, バ-ク 강을 산화성 분위기에서 가열할 때 스케일 밑에 나타나는 얇은 탈탄층. 박리, exfoliation, flaking, spalling, 剝離 금속 표면에서 얇은 껍질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으로서, 침탄강이나 경질강이 하중을 받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반경질, half hard, 半硬質 비철 금속이나 일부 철강 재료에서 완전 연질(dead soft)과 완전 경질(full hard)의 중간 정 도의 인장 강도를 갖는 질별(temper). 반 마르텐사이트, half martensite, ハ-フ․マルテンサイト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50%가 된 조직. 반복 열처리, multiplex heat treatment, 多段熱處理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가열 처리를 여러번 반복하면 현저한 저온 어닐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7:3황동(α고용체) 압연재에 이 처리를 행하면 탄성이 매우 향상된다. 반복 템퍼링, multiple tempering, 繰返し燒もどし 여러번 반복해서 행하는 템퍼링 처리를 말한다. 반복 템퍼링에는 동일한 온도에서 템퍼링 을 반복하는 방법과, 온도를 순차적으로 올리거나 내리면서 템퍼링을 반복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고속도강 특히 고Co 고속도강의 템퍼링에 효과적이다. 반연속 배치로, semicontinuous batch furnace, 반연속バチ로 가열실, 서냉실 및 퀜칭 탱크가 설비되어 있으며 자동 이송 장치에 의해서 부품을 장입하 - 25 -

여 반연속적으로 열처리할 수 있는 배치로. 반온도, half temperature, 半溫 (퀜칭 온도+퀜칭액 온도)/2, 즉 퀜칭 온도와 퀜칭액 온도의 중간 온도. 반온 시간, half temperature time, 半溫時間 퀜칭 온도에서 반온도가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반응 표면, reactive surface, 反応表面 화학 열처리 중 분위기 매체와 반응을 일으키는 부품의 표면. 발열 가스, exothermic gas, 發熱型ガス 원료 가스에 과잉의 공기를 가하여 완전 연소 또는 부분 연소시켜서 얻은 연소열을 이용해 서 발열 반응에 의해서 변성시킨 가스. 방사 가열색, radiant heat color, 加熱色 강재를 가열할 때 온도에 따라 변하는 강재의 색. 방사 발열관, radiant tube, ラジアント チュ-ブ 내열 합금관 속으로 가스를 연소시켜 합금관을 발열체로 이용하는 열처리로의 열원이 되는 방사 발열관. 방전 경화, spark hardening, 放電硬化 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강의 표면을 침탄 및 질화시키는 방법이다. 즉 (+)극으로 초경 합금 을 사용하고, 처리품을 (-)극으로 전원에 접속시켜서 전극에 전자적 진동을 주면 방전을 일 으키므로 전극의 초경 합금은 처리품의 표면으로 확산하여 WC나 TiC가 용착된 경화층을 형성시킨다. 보통 120V의 전압으로서 50~70㎛두께의 경화층이 얻어진다. 이 경화층의 경도 는 Hv 1,400~1,600에 달하므로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공구의 절삭 수명이 증가된다. 방전 경화 육성, spark hard facing, 放電硬化肉盛 전극에 경질 금속을 사용하고, 전극과 열처리하고자 하는 부품 사이에 방전을 일으켜서 경 질 금속을 용융 육성하는 표면 경화법. 배위수, coordination number, 配位數 1개 원자를 중심으로 그 원자 주위에 있는 최인접 원자의 수를 말한다. 배치로, batch furnace, バチ爐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서 처리품을 장입하여 열처리하는 단독으로 설치된 로. 백색화, whitening, 白色化 금속의 표면에 Sn, Ag, Ni 등과 같은 백색 금속의 박막을 부착하는 방법. 백선, white cast iron, 白鑄鐵 주철의 응고시 급랭하였다든가 또는 규소량이 적어서 탄소가 흑연화되지 못하고 시멘타이 트로서 정출하여 파면이 백색으로 나타나는 주철. 매우 단단하고 취약하다. - 26 -

백어닐링, white annealing, 白燒なまし 박강판의 내부 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무산화 저온 어닐링. 백열 취성, white hot brittleness, 白熱脆性 소재가 희게 보이는 정도의 고온에서 일어나는 취성. 백점, white spot, flake, 白点 강재의 다듬질 표면에 나타나는 백색의 미세 균열로서, 그 파면이 백색 반점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주로 Ni-Cr강에 현저하게 나타나고, 그 원인은 분명치는 않지만 흡수된 수소 가스, 불순물의 응집, 내부 변형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주철, white cast iron, 白鑄鐵 백선과 동일한 의미. 백층, white layer, 白層 질화 또는 침질 탄화 처리 후에 표면층에 나타나는 백색의 화합물층. 배치 어닐링, batch annealing, バッチ燒なまし 강판의 어닐링 방법으로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것으로, 코일상으로 감겨진 강판 코 일을 3~5단 쌓아서 열처리한다. 가열 및 냉각에 소요되는 시간이 장시간이므로 연질 강판 이 얻어지지만, 온도 구배 등의 원인 때문에 연화 불균일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버닝, burning, 燃燒 강을 공기 중에서 너무 높은 온도로 가열하였을 때 과열의 정도가 심하여 입계가 일부 용 융하기 시작한다든지, 또는 입계를 따라 내부까지 산화가 진행되어 나머지 열처리나 기계 가공 등의 작업에서도 정상적인 성질을 회복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버닝 조직, burnt structure, 燃燒組織 버닝 때문에 생기는 조직. 번 아우트, burn out, バ-ン アウト 정기적으로 열처리로 내에 공기를 불어 넣어 쌓여 있는 유리 탄소를 연소시키는 처리. 베이나이트, bainite, ベイナイト 강을 S곡선의 코(nose) 이하와 Ms 온도 이상의 온도 범위에서 등온 변태하였을 때 생기는 조직으로서, 이 온도 범위 중 높은 온도에서 형성된 조직은 깃털 모양이고, Ms 온도에 가 까운 온도에서 형성된 조직은 침상을 나타낸다. 전자를 상부 베이나이트, 후자를 하부 베이 나이트라고 부른다. 베이나이트 경화, bainitic hardening, ベイナイト燒入れ 베이나이트 조직을 얻기 위한 퀜칭 처리. 베이나이트 구역, bainite range, ベイナイト區域 강을 항온 변태시킬 때 베이나이트 조직이 형성되는 온도 구역. 즉, S 곡선상에 코(nose) 온도와 Ms 온도 사이의 온도 구역. - 27 -

베이나이트 임계 냉각 속도, bainite critical cooling rate, ベイナイト臨界冷却速度 퀜칭할 때 베이나이트가 형성되지 않는 최소의 냉각 속도. 베이나이트 처리, bainitic treatment, ベイナイト處理 베이나이트 조직을 얻는 열처리 베이나이트 템퍼링, bainitic tempering, ベイナイト燒もどし 고온 템퍼링 온도에서 냉각하는 도중에 등온 처리하여 2차 베이나이트를 만드는 처리. 베이킹, baking, 焙り燒き 산화 피막의 형성, 내부 응력의 안정화, 도금에 의한 수소 가스의 제거 등을 위하여 낮은 온도(200~300℃)로 가열, 유지하는 처리. 베타 어닐링, beta annealing, 티타늄 합금을 β상(相)이 형성하는 온도 범위로 가열한 다음 분해되지 않는 적당한 온도로 냉각하여 β상을 형성시키는 처리. 벨트 콘베어로, belt conveyer furnace, ベルトコンベヤ-로 부품을 벨트 콘베어에 놓고 연속적으로 장입하여 열처리하는 로. 변성 가스, converted gas, 変成ガス 가스 침탄시 일산화탄소(CO) 단독으로는 침탄성이 약하고, 메탄 가스(CH4), 프로판 가스 (C3H8) 등은 분해하여 강재 표면에 그을음을 발생시키므로 오히려 침탄 작용을 저해하므로 CO, H2, N2에 소량의 CO2, H2O, CH4가 혼합되어 있는 것을 변성 가스라 하고, 그 변성 방 법에 따라 발열형 가스와 흡열형 가스의 2종류가 있다. 변태, transformation, 変態 금속의 가열 및 냉각시 일어나는 한 상(phase)에서 다른 상으로의 급작스런 변화. 즉 금속 의 결정 구조가 변화되는 현상. 변태 경화, transformation hardening, 変態硬化 오스테나이트화 처리 후 급랭하여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나이트 로 변태하여 경화되는 처리. 변태 과정, transformation process, 変態經過 변태가 진행되는 상황. 변태 범위, transformation range, 変態範圍 하나의 상(相)이 가열중 형성되고 냉각중 변태되는 온도 범위. 이 온도 범위는 뚜렷하게 나 타나는데 이따금 중복되지만 결코 일치하지 않는다. 변태 범위의 한계 온도는 합금의 조성 및 특히 냉각중 온도 변화 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변태 변형, transformation strain, 変態ひずみ 변태에 의해 부품 또는 소재에 생기는 변형. 변태 어닐링, transformation annealng, 変態燒なまし - 28 -

A3 변태점 이상의 고용체 범위에서 하는 철강의 어닐링 처리. 이 처리는 가열과 냉각시에 모두 두 번의 변태 과정을 거치므로 조직이 완전히 달라진다. 완전 어닐링, 확산 어닐링과 같은 의미이다. 변태 온도, transformation temperature, 変態溫度 상변태가 일어나는 온도. Ac1, Ac3, Ar1, Ar3, Acm 등. 변태 유기 소성, transformation plasticity, 変態塑性 가공 유기 변태 도중에 가공에 의해 변태되는 마르텐사이트 때문에 연신율이 매우 크게 나 타난다. 이 현상을 변태 유기 소성이라 한다. 변태 응력, transformation stress, 変態応力 변태에 의한 내부 응력. 중심부까지 경화되는 경우에는 외부의 변태 응력은 인장 응력이고, 내부에는 압축 응력이 잔류한다. 이와 같이 부품의 외부에 인장 응력이 작용하면 파손을 일으키기 쉽다. 표면 부위만 경화되는 경우에는 외주부에 압축 응력, 중심부에는 인장 응력 이 존재한다. 변태점, transformation point, 変態点 변태를 일으키는 온도. 변태점하 어닐링, sub-critical annealing, 変態点下の燒なまし A1 변태점 직하의 온도로 가열하는 어닐링 처리. 변태 하중법, trans-stressing, 変態荷重法 변태시에 외력을 가하는 방법. 변태점하 처리, sub-critical treatment, 変態点下處理 변태점 이하의 온도에서 행하는 등온 처리. 변형 시효, strain aging, 応力時效, 歪時效 상온 가공한 금속이 시효에 의해 경화되는 현상. 변형 시효 경화, strain age hardening, 歪時效硬化 상온 가공한 금속을 시효시키면 강도 및 경도가 상승하는 현상. 변형 시효 취성, strain age brittleness, 歪時效ぜい性 저탄소강을 시효 처리한 후 소성 가공하였을 때 취성이 나타나는 현상. 변형 템퍼링, strain tempering, 負荷燒もどし 외부 하중으로 변형을 주면서 템퍼링하는 처리. 보상 도선, compensating wire, 補償導線 열전대의 단자(端子)에서 냉접점까지 사용하는 도선. 보통 열처리, conventional heat treatment, 普通熱處理 강을 오스테나이트화 한 후 냉각하는 기본적인 각종 열처리. - 29 -

보통 열처리, thermal treatment, 普通熱處理 가열과 냉각에 의해서만 실시하는 일반 열처리. 보호 분위기, protective atmosphere, 保護的雰圍氣 강 표면의 산화 또는 탈탄을 방지할 수 있는 광휘 열처리 분위기. 예를 들면 Ar, He 등의 불활성 가스, 질소와 같은 중성 가스 및 암모니아 분해 가스 등이 사용된다. 복탄, carbon restoration, 復炭 열처리나 열간 가공할 때 탈탄된 것을 다시 침탄하여 원래의 탄소량으로 복귀시키는 처리. 복평형 상태도, double equilibrium diagram, 復平衡狀態圖 Fe-C계와 Fe-Fe3C계 상태도를 함께 나타낸 평형 상태도. 복합 가공 열처리, combined thermomechanical treatment, 2段加工熱處理 2가지 이상의 가공 열처리 방법을 조합한 처리. 복합 등온 처리, combined isothermal treatment, 引上げ恒溫處理 복합 오스템퍼링과 동일. 복합 열처리, combined heat treatment, 2段熱處理 2가지 이상의 열처리 과정을 조합하여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는 열처리. 복합 오스템퍼링, combined austempering, 引上げオ-ステンパ중탄소강에 대한 새로운 퀜칭 경화법으로, 중탄소강은 S곡선의 코 시간이 짧기 때문에 5mm 이상 두께의 부품에서는 열욕 퀜칭이 어렵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물에 냉각하여 직경 1mm당 1초의 비율로 침지한 후 꺼내어 즉시 오스템퍼링하는 처리. 복합 탄화물, complex carbide, 複合炭化物 강 중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합금 원소와 결합한 철탄화물. 예: (Fe,Cr)7C3 본더라이트법, bonderite process, ボンデライト法 파커라이징에 사용하는 용액에 인산동을 첨가하여 강의 표면에 동을 석출시켜서 적갈색의 방청 피막의 생성을 가속시키는 방법. 이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피막은 산화동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적갈색이다. 처리 시간은 보통 8~12분이다. 부라우나이트, braunite, ブラウナイト 철-질소계에서 질소를 고용한 α철과 철을 함유하는 Fe4N의 공석 조직. 부분 가열, spot heating, 点加熱 강판의 凸부분을 급속 가열, 급랭하는 변형 제거법. 부분 경화, semi-hardening, セミハ-ドニング 100% 마르텐사이트화 하지 않고 일부분만 마르텐사이트화 하는 퀜칭. 부분 어닐링, partial annealing, 部分燒なまし - 30 -

냉간 가공된 부품의 강도를 특정값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불완전한 오스테나이트화 처리 후 매우 천천히 냉각시키는 처리. 부분 오스테나이트화, partial austenitizing, 部分オ-ステナイト化 변태 구역 내에서 가열하여 부품의 일부분만을 오스테나이트화 하는 처리. 분말 야금, powder metallurgy, 粉末冶金法 금속 분말을 소정의 제품 또는 부품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가압한 후에 가열하든가, 또는 가압하면서 가열하는 소결 방법에 의해서 고체화 하는 방법. 분무 퀜칭, fog quenching, 噴霧燒入れ 냉각액을 부품에 분무하여 퀜칭하는 처리. 분사 경화, spray hardening, 噴射燒入れ 분사 냉각에 의한 경화 처리. 분산 경화, dispersion hardening, 分散硬化 고용되지 않는 미세한 경질 입자가 조직 중에 분산되어 경화되는 현상. 분산 입자, dispersoid, ディスパ-ソイド 금속 중에 분산되어 분산 경화를 나타내게 하는 산화물, 탄화물 및 질화물 등의 미세한 입 자. 분열 변태, split transformation, 分裂変態 Ar′과 Ar″의 두 변태가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 분위기 가스, controlled atmosphere, 雰圍氣ガス 열처리 목적에 따라 노 속의 분위기를 조절해 주는 가스. 구체적인 분위기 가스에는 산화 성 가스, 탈탄성 가스 및 침탄성 가스도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열처리에 사용되는 분위기 가스라 함은 산화 및 탈탄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중성 가스, 환원성 가스 등 의 보호 분위기 가스를 의미한다. 분위기 열처리, controlled atmosphere heat treatment, 雰圍氣熱處理 각종의 분위기 가스 속에서 행하는 열처리. 분해도, dissociation rate, 分解度 가스 질화 및 가스 침질 탄화시 암모니아 가스의 분해 정도를 퍼센트로 나타낸 값. 불꽃 경화, flame hardening, 火炎燒入れ 강의 표면을 강력한 가열력을 가진 산소-아세틸렌 불꽃을 사용하여 급속하게 가열시킴으로 써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만든 후 냉각수로 급랭시켜 표면만 경화시키는 방법이다. 불꽃은 산 소와 아세틸렌의 혼합비가 1 : 1일 때가 가장 좋다. 불꽃 교정, flame straightening, 火炎直し 금속 부품의 변형된 부분을 화염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교정하는 방법. - 31 -

불꽃 시험, spark test, 火花檢査 강재를 그라인더로 연삭할 때 나오는 불꽃으로 간단히 강재의 종류를 구분하는 방법. 불꽃 어닐링, flame annealing, 火炎なまし 강을 불꽃으로 연화시키는 처리. 불꽃 템퍼링, flame tempering, 火炎燒もどし 강을 불꽃으로 템퍼링하는 처리. 이 경우에는 표피만 가열되기 쉬우므로 연마 균열과 같은 열균열을 일으키게 되므로 주의해야만 한다. 불꽃 커튼, flame curtain, 火炎カ-テン 노내의 분위기와 외기(外氣)를 차단하기 위한 점화 가스 커튼. 불균질 조직, heterogeneous structure, 不均一組織 균일한 조직과 성질을 갖지 못한 조직. 불림, normalizing, 燒ならし 노르말라이징 참조. 불순물, impurity, 不純物 금속 내부의 불순 물질의 총칭. 불스 아이, bull's eye, ブルス-アイ 가단 주철과 구상 흑연 주철의 현미경 조직에서 구상화된 흑연 주위에 페라이트가 둘러 싸 인 조직. 일반적으로 구상 흑연 주철의 주조 조직은 이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불연속 석출, discontinuous precipitation, cellular precipitation, 不連續析出 과포화된 고용체의 결정립계 부위에 존재하는 핵으로부터 석출 입자가 기지 내로 성장하면 서 주위에 용질이 고갈된 기지 조직을 형성하는 석출현상. 석출물과 기지 조직이 층상을 이루고 있다. 불필요 원소, tramp element, トランプエレメント 강 중에 함유되어 있는 불필요한 원소. 브레이징, brazing, 硬ろう付け 모재의 용융점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는 충진재로써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방법 을 말하며, 용융점이 43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브린넬 경도, Brinell hardness, ブリネル硬さ 브린넬 경도계로 측정한 경도. HB로 표시한다. 블랙 어닐링, black annealing, 黑燒なまし 아연도금 강판을 산세척한 후 연속 어닐링로에서 실시하는 일차 어닐링 처리. 블루잉, bluing, 靑熱着色 저온에서 가열하면서 공기, 증기, 화공약품 등으로 표면에 청색 산화 피막을 만들어 외관이 - 32 -

좋고 내식성을 증가시키는 처리. 블루잉, bluing, ブル-イング 상온 가공한 강의 탄성 한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저온에서 가열하는 처리. 블리스터, blister, 酸洗い膨れ 산세척할 때 생기는 도금 표면의 부풀음. 블리스터, blister, ブリスタ 열처리할 때 강재의 표면층이 수소 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현상. 비경화, unhardening, 燒殺し 경화되지 않도록 냉각을 조절하는 처리. 비경화 중심부, unhardened core, 非硬化心徑 경화되지 않은 중심부. 비금속 개재물, nonmetallic inclusion, 非金屬介在物 일반적으로 강을 정련하는 경우에 탈산 생성물이나 출강(出鋼)시에 공기 산화에 의한 산화 물 등이 용강으로부터 부상하여 분리되지 않고 강 중에 잔류하고 있는 것. 산화물, 규산화 물, 황화물 등이 있다. 비늘 파편, fish scale, フィッシュ․スケ-ル 퀜칭한 고속도강의 파단시 나타나는 물고기 비늘 모양의 파면. 비등온 변태, athermal transformation, 非等溫変態 열활성화 과정에 도움을 받지 않고 일어나는 변태. 즉, 개개 원자의 열활성화를 필요로 하 지 않고 적당한 역학적인 과정에 의해서 지배되는 변태로서,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대표적 이다. Bs점, Bs point, Bs点 오스테나이트가 베이나이트로 변태하기 시작하는 온도. Bf점, Bf point, Bf点 베이나이트 변태가 종료되는 온도. 비정상 조직, abnormal structure, 異常組織 침탄 후에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조직. 비커스 경도, Vickers hardness, ビッカ-ス硬さ 비커스 경도계로 측정한 경도(Hv) B퀜칭, B quenching, Bクエンチ 베이나이트 조직을 얻기 위한 항온 퀜칭. 비파괴 시험, non-destructive testing, 非破壞試驗 - 33 -

재료를 파괴시키지 않고 재료의 결함 등을 조사하는 검사.(X선 투과법, 자기 탐상법, 초음 파 탐상법 등이 있음) B형 열전대, B-type thermocouple, B型熱電對 30%Rh-Pt과 6%Rh-Pt선으로 구성된 열전대로서, 사용 온도 범위는 870~1650℃이다.

사 475℃ 취성, 475℃ embrittlement, 475℃ぜい性 스테인리스강을 400~510℃ 사이의 온도에서 장시간 유지할 때 나타나는 취성. 이 취성은 미세한 Cr-rich 탄화물이 결정립계에 석출함에 의해서 일어난다. ¼경질, q0uarter hard, ¼硬質 비철 금속이나 일부 철강 재료에서 완전 연질(dead soft)과 반경질(half hard)의 중간 정도 의 인장 강도를 갖는 질별(temper). 사이클 어닐링, cycle annealing, サイクル․アニリング 특정한 성질과 조직을 얻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온도 사이클로써 처리하는 어닐링 공정. 산세, pickling, 酸洗い 산 용액에 담그어 강재 표면을 세척하는 처리. 산세 억제제, pickling inhibitor, 酸洗い抑制濟 산 세척으로 생기는 부식 작용을 억제하기 위한 첨가제 산세 취성, pickling embrittlement, 酸洗いぜい性 산 세척에 의해서 발생되는 수소 취성 산소 검출기, oxygen probe, 酸素檢出器 분위기 가스의 산소 분압을 측정하여 탄소 포텐샬을 분석하는 장치. 산소 오스테나이트, oxyaustenite, オキシオ-ステナイト 산소가 고용된 오스테나이트. 산소 페라이트, oxyferrite, オキシペライト 산소가 고용된 페라이트. 산 취성, acid brittleness, 酸ぜい性 산성 용액으로 세척하거나 또는 산성 용액에서 도금할 때 수소가 강 속에 침입하여 생 기는 취성. 산화, oxidation, 酸化 산소와의 반응에 의하여 산화물을 만드는 현상. - 34 -

산화물 프린트, oxide print, オクサイド.プリント 산화물의 분포를 검출하는 인화법 산화 피막 처리, oxide film treatment, 酸化被膜法 강의 표면에 산화 피막을 형성시키는 처리 3차원 열처리, three-dimensonal heat treatment, 3次元熱處理 과냉 오스테나이트 상태에서 소성 가공을 하면서 실시하는 열처리.(온도-시간-외력의 3차 원 TMT) 상, phase, 相 원자 또는 분자가 균일하게 모여 있는 상태. 상부 베이나이트, upper bainite, 上ベイナイト 강을 퀜칭 온도로부터 물이나 기름 속에 냉각하지 않고, 350℃ 이상 Ar′점 이하의 어느 온도로 유지된 열욕(熱浴)으로 퀜칭할 때 생기는 베이나이트 조직. 조직은 깃털 모양(羽毛 狀)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임계 냉각 속도, upper critical cooling rate, 上部臨界冷却速度 연속 냉각 변태시 마르텐사이트 조직만을 얻기 위한 최소의 냉각 속도. 상승 계단식 템퍼링, step up tempering, のぼり階段式燒もどし 온도를 올려가며 단계적으로 처리하는 템퍼링. 상자로, box furnace, 箱爐 가열실이 상자형으로 되어 있어서 앞쪽 개폐문을 열고 부품을 장입할 수 있는 열처리로. 상자 어닐링, box annealing, 箱燒なまし 밀폐시킨 용기 중에 강재를 장입하여 강 표면에서의 산화를 가능한한 억제하기 위한 어닐 링 조작. 상자 침탄, box carburizing, 箱づめ浸炭 고체 침탄제와 침탄 부품을 침탄용 상자에 넣고 노내에 장입하여 침탄하는 처리. 고체 침 탄법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최근에는 고체 침탄제와 부품을 따로 노내에 장입해서 침 탄하는 방법이 행하여지고 있다. 상태도, phase diagram, 狀態圖 평형 상태도를 뜻함. 상향 퀜칭, up-hill quenching, サブゼロ急熱法 서브제로 처리한 부품을 끓는 물에 넣어서 해동(解凍)하는 처리. 쌍정, twin, 双晶 특정한 면 또는 축에 대하여 대칭인 2개의 동종 결정이 결합한 고체. - 35 -

서냉, slow cooling, 徐冷 높은 온도에서 천천히 냉각하는 처리. 서브머지드 전극로, submerged electrode furnace, サブマ-ジド電極爐 액체 침탄에 사용되는 노로서, 외부는 보통의 벽돌로 만들어져 있고, 염욕 용기는 알루미나 (alumina) 내화 벽돌로 되어 있고, 그 속에 전극이 매몰되어 있다. 한편 외부 벽돌과 세라믹 용기 사이에는 단열재로 채워져 있다. 서브머지드 전극로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우선 다른 노에서 용융시킨 염을 사용할 염욕 용기에 붓거나, 또는 가스 토오치나 전기 저항 코일로써 전극 부근의 염을 녹여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경로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노의 가동을 정지시키려면 염이 응고되기 전에 용기에서 퍼내야만 한다. 만일 염이 용기 내에 그대로 있 게 하려면 염이 녹아 있는 상태에서 저항 가열 코일을 노 내에 설치하여야 한다. 이 코일은 염이 응고된 후에도 그대로 매몰된 상태로 있으므로 노를 재가열하는 데에 starting 코일로 써 사용할 수 있다. 서브제로 가공, zero-working, ゼロワ-キング 퀜칭 후에도 남아 있는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마르텐사이트화 시키기 위하여 영하의 온도에 서 행하는 소성 가공. 서브제로 냉각제, sub-zero coolant, サブゼロ冷却劑 서브제로 처리를 행할 때 사용하는 냉각제. 주로 액체 질소를 사용하고 있다. 서브제로 소성 가공, sub-zero working, サブゼロ塑性加工法 0℃ 이하의 온도에서 행하는 소성 가공. 서브제로 압연, zerolling, サブゼロ壓延 영하 온도에서의 압연 가공. 서브제로 처리, sub-zero treatment, サブゼロ處理 강을 퀜칭할 경우에 오스테나이트가 남아 있으면 변형이나 치수 불안정 등 문제점이 많으 므로, 템퍼링 전에 0℃ 이하로 냉각하여 이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전부 마르텐사이트화 하 는 처리. 석출, precipitation, 析出 과포화 고용체 중에서 과잉으로 고용되어 있던 용질 원자가 모상 격자로부터 분리되어 새 로운 상을 형성하는 현상. 석출 경화, precipitation hardening, 析出硬化 과포화 고용체로부터 제 2상의 석출에 의한 경화 현상. 석출 열처리, precipitation heat treatment, 析出熱處理 과포화 고용체로부터 인공적으로 석출물을 석출시키는 열처리 선가열, line heating, 線條加熱 화염을 사용하여 선모양으로 가열하면서 강판을 굽히는 방법. 선분석, lineal analysis, 線分析 - 36 -

시료의 현미경 조직 중 어떤 상의 양을 구할 때 임의의 직선을 정하고 각 상이 점유하 는 선의 길이를 측정하여 그 상의 부피비를 구하는 정량 조직 분석법. 선철, pig iron, 銑鐵 철광석을 용광로에서 환원 정련시킨 용철은 C 및 기타 불순물인 Si, Mn, P, S 등을 많이 함유한 상태로 노상(hearth)에 고이게 되는데, 이것을 사형 또는 금형에 주입하여 응고시 킨 것이 선철이다. 선철의 대부분은 제강로에서 강의 제조에 사용되고, 극히 일부만이 주 철 제조용으로 사용된다. 선택 가열, selective heating, 選擇加熱 필요한 부분만을 가열하는 처리. 선택 경화, selective hardening, 局部燒入れ 필요한 부분만을 급랭 경화시키는 처리. 선택 산화, selective oxidation, 選擇酸化 필요한 부분만을 산화시키는 처리. 선택 질화, selective nitriding, 局部窒化 필요한 부분만을 질화시키는 처리. 선택 침질 탄화, selective nitrocarburizing, 局部軟窒化 필요한 부분만을 침질 탄화시키는 처리. 선택 침탄, selective carburizing, 局部浸炭 필요한 부분만을 침탄시키는 처리. 선택 침탄 질화, selective carbonitriding, 局部浸炭窒化 필요한 부분만을 침탄 질화시키는 처리. 선택 퀜칭, selective quenching, 選擇燒入れ 필요한 부분만을 퀜칭시키는 처리. 선택 템퍼링, selective tempering, 選擇燒もどし 필요한 부분만을 템퍼링하는 처리. 설퍼 프린트, sulphur print, サルファ-․プリント 철강 중의 황화물의 분포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 섬유상 조직, fibrous structure, 纖維狀組織 결정립이 소성 가공된 방향으로 길게 늘어선 조직. 세라다이징, sheradizing, シェル燒入れ(Zn浸透) 강재 표면에 아연을 침투시키는 처리. 세미 킬드강, semi-killed steel, 半鎭靜鋼 - 37 -

불완전하게 탈산한 강을 말하며, 림드강과 킬드강의 중간 성질을 갖게 한 강. 세포상 조직, cellular structure, 細胞狀組織 결정립이 응고 방향으로 평행하게 나타나는 조직. 세포 조직, cell structure, 細胞組織 가공 경화된 금속의 결정립 내에 나타나는 전위의 망상 배열. 소결, sintering, 燒結 금속 분말을 압축 성형후 고온에서 가열하여 입자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처리. 소르바이트, sorbite, ソルバイト α철과 미립 시멘타이트의 기계적 혼합물로서, 마르텐사이트를 500~600℃에서 템퍼링할 때 얻어지는 조직. 현재는 잘 안 쓰이는 용어이다. 솔베나이팅, solveniting, ソルベナイト法 고속도강에 대한 화학적 표면 처리법. 쇼아 경도, Shore hardness, ショア-硬さ 쇼아가 고안한 반발식 경도 시험기로 측정한 경도값. 낙하체의 반발 높이의 대소로써 경도 를 측정한다. 숏다이 퀜칭, shot die quenching, ショットダイ 燒入れ 가열된 박판을 냉각 상태의 금형에 부착하여 강구를 분사시켜 성형과 퀜칭을 동시에 행하 는 처리. 숏 블라스팅, shot blasting, ショットブラスト 경질 입자를 사용하여 표면을 깨끗하게 하는 처리. 숏 피닝, shot peening, ショットピ-ニング 직경 1mm 이하의 경질 구형 입자를 사용하여 표면에 압축 잔류 응력을 발생시켜 표면을 경화시킴과 함께 피로 강도를 높이는 처리. 수냉, water cooling, 水冷 물 속에서 냉각하는 처리. 수냉 어닐링, water annealing, 水なまし 변태점 직하의 가열 온도에서 수냉하여 연화시키는 처리. 수성 가스 반응, water gas reaction, 水性ガス反え 분위기 가스 중 산화성 가스와 환원성 가스 사이의 반응. 즉, CO + H2O ↔ CO2 + H2 수소 어닐링, hydrogen annealing, 水素燒なまし 수소 분위기 중에서 행하는 어닐링 처리. 수소 취성, hydrogen embrittlement, 水素ぜい性 - 38 -

금속 재료가 수소를 흡수하여 취화하는 현상 수연점, water spot, 水軟点 분수 퀜칭할 때 분수와 접촉된 부근에서 생기는 연화 부분. 수은 시험, amalgam test, mercury test, 水銀試驗 제일초산 수은 용액을 사용하여 상온 가공한 황동 제품의 균열을 검사하는 방법. 수인, water toughening, 水靭 오스테나이트강의 결정립 조직을 조절하고 인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고온에서 수냉하는 처리. 주로 고Mn강(10~14%Mn, 0.9~1.3%C)에 적용되는 열처리이다. 즉 주조 상태의 고 Mn강은 완전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하는데에 적당하지 않으므 로, 이것을 950~1050℃로 가열후 수냉하여 완전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변화시키면 인 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마모성을 나타낸다. 수중 경화, water hardening, 水燒入れ 물 속에 급랭하여 경화시키는 처리. 수중 퀜칭, water quenching, 水中急冷 물 속에 퀜칭시키는 처리. 수지상정, dendrite, 樹枝狀晶 금속을 응고시킨 후 나타나는 나무가지 모양의 조직. 수지상 조직, dendritic structure, 樹枝狀組織 수지상정 조직을 말한다. 수축 접합, shrink fit, 燒ばめ 가열 팽창된 바깥 둘레를 냉각 수축시켜 중자에 꽉 끼우는 작업. 수팅, sooting, 煤化 가스 침탄(또는 가스 침탄 질화)시 과잉의 유리 탄소가 열처리 부품의 표면이나 노의 내벽 에 쌓이는 현상. 쉘 경화, shell hardening, シェル燒入れ 강재의 표면만을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로 가열한 후 급랭시켜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만들 어 경화시키는 처리. 스냅 템퍼링, snap tempering, 引き上げ燒もどし 퀜칭 냉각 도중, 강재의 온도가 100~150℃ 정도로 되었을 때 다시 가열하여 템퍼링하는 처리. 스니드법, snead process, スニ-ド法 물질에 직접 전기를 통하게 하여 저항 가열하는 열처리. 스라이팅, thuriting, サ-ライティング - 39 -

연강의 디프 드로잉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열처리. 스웨팅, sweating, 發汗現象 Al-Cu, Cu-Sn-P계 합금 등의 주괴 표면에 입상 돌기가 나타나는 현상. 소결 합금에서도 저융점 성분이 이와 같이 밖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 스킨 효과, skin effect, スキン效果 고주파 경화시 강재의 표층을 흐르는 전류가 최대로 되는 현상.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주 파수는 10~500kHz 범위의 고주파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 주파수가 클수록 유도 전류는 원 통형 강재의 표면 부위에만 집중되어 흐르게 되고, 중심부의 전류는 거의 영(零)이 된다. 스테다이트, steadite, ステッダイト Fe3P를 함유한 오스테나이트의 공정 조직. 스테드 취성, Stead's brittleness, ステッドぜい性 705℃ 이하의 온도에서 가공한 저탄소강 박판을 500~750℃에서 장시간 어닐링 가열하였을 때 일어나는 입내 파괴를 야기시키는 취성. 파괴는 보통 압연 방향에 45°각도로 일어난다. 스피노달 분해, spinodal decomposition, スピノ-ダル分解 스피노달 선 내에서 핵생성 단계 없이 석출물이 석출되는 현상. 스피노달 조직, spinodal structure, 紡ぎ狀組織 스피노달 분해에 의해 형성된 미세하고 균일한 2상 혼합 조직. 스피노달 조직의 상들은 서 로 조성이 다를 뿐만 아니라 모상의 조성과도 다르다. 그러나 모상의 결정 구조와는 동일 한 결정 구조를 갖는다. 슬래그 프린트, slag print, スラグプリント 비금속 개재물을 검출하는 인화법. 슬랙 퀜칭, slack quenching, スラック燒入れ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로부터 임계 냉각 속도보다 약간 느린 속도로 냉각하는 퀜칭 조작으로 서, 강은 완전히 경화되지는 않고 마르텐사이트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변태 조직이 형성된다. 슬립 고주파 경화, slip induction hardening, すべり高周波燒入れ 유도 코일과 분사되는 물을 적당한 간격으로 놓아 재료를 미끄러지게 하는 고주파 경화 처 리. 슬립 불꽃 경화, slip flame hardening, すべり火炎燒入れ 버너와 분사되는 물을 적당한 간격으로 놓아 재료를 미끄러지게 하는 불꽃 경화 처리. 습식 퀜칭, wet quenching, 濕式燒入れ 액체 중에서 행하는 퀜칭. 습식 템퍼링, wet tempering, 濕式燒もどし 액체 중에서 행하는 템퍼링. - 40 -

승강 계단식 오스템퍼링, step up and down austempering, 昇降階段式オ-ステンパMs 온도 직상과 직하 온도를 일정시간 유지하는 조작을 반복하여 오스템퍼링하는 처리. 승강 계단식 템퍼링, step up and down tempering, 昇降階段式燒もどし 반복하여 템퍼링하는 처리. 승온 오스템퍼링, set-up austempering, 昇溫オ-ステンパ먼저 Ms점 직상의 열욕에 퀜칭한 후 즉시 이보다 높은 온도의 열욕으로 옮겨서 유지한 후 냉각하는 오스템퍼링 처리. 시간 퀜칭, time quenching, 時間燒入れ 일정 온도로 유지된 퀜칭액에 퀜칭한 후, 일정 시간 유지한 다음 꺼내는 퀜칭 처리. 즉, 냉 각 도중에 열처리품의 냉각 속도가 급격하게 바뀌어야만 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퀜칭 처리. 시그마상, sigma phase, シグマ相 일반적으로 FeCr형의 경하고 취약한 금속간 화합물. 원래는 고크롬 스테인리스강을 600~ 800℃에서 장시간 가열하면 페라이트의 일부가 변태한 것을 말한다. 시그마상 취성, sigma-phase embrittlement, シグマ相ぜい化 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 결정립계에 σ상의 석출에 기인하는 취성. 이 취성 에 의해서 인성과 연성이 급격히 저하되고, 입계 부식을 조장한다. 시멘타이트, cementite, セメンタイト 철과 탄소로 구성된 금속간 화합물(Fe3C). 시멘테이숀, cementation, セメンテ-ション 강 표면에 금속 원소를 확산 침투시키는 처리. 시안화 처리, cyaniding, 靑化法 시안화물을 사용하여 표면 경화하는 처리. 시작 경도, initial hardness, IH 硬度 Jominy 시험편의 수냉끝에서 1/16 inch 위치의 경도. 시효, aging, 時効 용체화 처리 후에 얻어진 과포화 고용체를 상온(자연 시효) 또는 이보다 약간 높은 온도 (인공 시효)에서 유지하여 석출물을 형성시키는 일. 시효 균열, aging crack, 時効割れ 상온에서 장시간 방치하였을 때 저절로 발생되는 균열. 시효 경화, age hardening, 時効硬化 상온 또는 그보다 높은 온도에서 시효에 의하여 과포화 고용체로부터 미세한 2차상의 석출 에 기인하여 일어나는 경화 현상. - 41 -

시효 뒤틀림, season distortion, 置き狂い 상온 방치 중에 일어나는 뒤틀림 현상. 실리코나이징, siliconizing, シリコナイジング 고온에서 금속 표면에 규소를 확산 침투시키는 처리로서, 각종 산 및 고온 산화에 대한 저 항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도 향상시킨다. 실리코니트, siliconit, シリコニット SiC를 주체로 하는 전기 저항 발열체를 총칭하는 상품명으로, 최고 사용 온도는 1600℃까 지이다. 심층 경화, deep hardening, 深燒き 경화능이 우수한 강을 퀜칭하였을 때 강의 내부로 깊게 경화되는 현상. C 곡선, C curve, C 曲線 강을 오스테나이트화 한 후에 A1 변태 온도 이하의 어느 온도로 급랭시켜서 이 온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스테나이트의 변태 시작과 종료 시간을 나타내는 등온 변태 곡선을 말하며, S 곡선, TTT 곡선 또는 IT 곡선이라고도 부른다. CCT 곡선, CCT diagram, CCT 曲線 continuous cooling transformation diagram의 약자로서, 강을 연속적으로 냉각시킬 때 변 태가 시작되고 종료되는 온도 및 시간을 나타낸 곡선. CT 곡선, CT diagram, CT 曲線 cooling transformation의 약자. 냉각 변태 곡선.

아 아결정립, sub-grain, 亞結晶粒 하나의 결정립 내에 나타나는 미세한 여러개의 결정립으로 이러한 아결정립들 사이의 방위 차는 결정립들 사이의 방위 차이에 비해 훨씬 작다. 아공석, hypo-eutectoid, 亞共析晶 2원 상태도에서 공석 변태점보다 왼편의 조성을 의미함. 아공정, hypo-eutectic, 亞共晶 2원 상태도에서 공정 변태점보다 왼편의 조성을 의미함. 아이소 포밍, isoforming, アイソフォ-ム 오스테나이트가 펄라이트로 변태하는 도중에 실시하는 강의 가공 열처리. 아입계 조직, sub-boundary structure, 亞粒界組織 결정립 내에 나타나는 망상의 미세 결정립의 입계 조직. - 42 -

IT곡선, IT diagarm, IT曲線 등온 변태(isothermal transformation)곡선. 등온 변태를 참조할 것. 악어 껍질 표면, alligator skin, わに朋 강의 표면에 묻어 있던 기름 때문에 가열할 때 생기는 악어 껍질 모양의 표면. 안정화 원소, stabilizer, 安定化元素 특정한 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는 원소. 안정화 처리, stablizing treatment, 安定化處理 1) 제품의 치수의 경년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종 치수로 마감하기 이전에 금속 부품을 작업 온도까지 또는 약간 높게 가열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는 처리. 2) 공구강이나 베어링강에서 경년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서브제로 처리 등을 행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양을 최소화시키는 작업. 3) 용체화 처리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Ti, Nb 또는 Ta를 포함하는 강)을 850~ 900℃로 가열하여 모든 탄소를 TiC, NbC 또는 TaC 등의 탄화물로 석출시켜 다음에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예민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처리. 알루미나이징, aluminizing, アルミナイジング 강의 내열성, 내부식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용융 알루미늄 욕에서 알루미늄을 강재의 표면에 피복시키는 처리. 철, alpha(α) iron, α鐵 순철의 동소체에서 A3 변태점 이하에서 안정한 체심 입방 결정 구조를 갖는 철. α

알프레이트법, alplate process, アルプレ-ト法 강의 표면에 Al, Mg, Be 등의 금속을 침투시키는 처리. R형 열전대, R-type thermocouple, R型熱電對 13%Rh Pt-Pt선으로 구성된 열전대로서, 사용 온도 범위는 -20~1480℃임. 산화성 분위기에 서 사용할 수 있음. 압연 경화, mill hardening, ミル燒入れ 최종 압연 온도로부터 즉각 퀜칭하는 처리. 압연 경화, rolled hardening, 壓延燒入れ 최종 열간 압연 온도에서 직접 퀜칭하는 방법. 오스포밍(ausforming)도 압연 경화의 일종이 라 할 수 있다. 액상선, liquidus, 液相線 상태도에서 액체만 존재하는 영역과 액체와 고체가 공존하는 영역의 경계선. 즉 냉각 중 액 체가 고체로 변하기 시작하는 선을 말한다. 액압 처리, hydraulic pressure treatment, 液壓處理 표면에 압축 잔류 응력을 주기 위하여 열처리한 부품을 고압 용기 속에서 가압하는 처리. - 43 -

액체 분사 퀜칭, liquid spray quenching, 液體噴水冷却 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액체를 부품 표면에 분사하는 퀜칭. 액체 질화, liquid nitriding, 液體窒化 염욕에 의한 질화 처리. 보통 가스 질화와 동일한 온도(510~570℃)에서 행한다. 액체 침탄 (liquid carburizing)과 시안화법(cyaniding)은 강의 변태점 이상의 온도에서 행하지만 액체 질화법은 강의 변태점 이하의 온도에서 행한다. 액체 질화법에 사용하는 염은 보통 60~ 70%의 나트륨염(NaCl 96.5%, NaCO3 2.5%, NaCNO 0.5%)과 30~40%의 칼륨염(KCN 96%, K2CO3 0.6%, KCNO 0.75%, KCl 0.5%)의 혼합염을 사용하며, 60~61% NaCl, 15~15.5% K2CO3, 23~24% KCl의 혼합염을 사용할 때도 있다. 액체 침질 탄화, liquid nitrocarburizing, 液體浸窒炭化 염욕에서 실시하는 침질 탄화 처리. 액체 침탄, liquid carburizing, 液體浸炭 염욕에 의한 침탄 처리. 용융시안화물 염욕에서 철강을 Ac1점 이상의 온도(900~950℃)로 가열하여 침탄시키는 방법. 일반적으로 경화 두께를 얇게 할 때는 NaCN이 많은 염욕에서 낮은 온도로 행하고, 경화 두께를 두껍게 할 때는 NaCN이 적은 염욕에서 높은 온도에서 행 한다. 많이 사용하는 염욕의 조성은 NaCN, BaCl2, 알카리토족류 금속, KCl, NaCl, Na2CO3 의 혼합염이다. 액체 침탄제, liquid carburizer, 液體浸炭劑 액체 침탄에 사용하는 염(NaCN이 주성분). 액체 침탄을 참조할 것. 액체 침탄 질화, liquid carbonitriding, 液體浸炭窒化法 염욕에 의한 침탄 질화 처리(시안화 처리). 시안화나트륨(NaCN)을 포함하는 용융 염욕에서 강재를 침적시켜 강표면에 C와 N이 침투하여 0.2mm이하의 얇은 경화층을 만드는 처리. 일 반적으로 45~50% NaCN, 20~30%Na2CO3, 15~25% NaCl 혼합 염욕에서 750~900℃ 사이 의 온도에서 행한다. 얕은 경화, shallow hardening, 淺燒き 의도적으로 경화 깊이를 얕게 하는 퀜칭 처리. 어닐링, annealing, 燒なまし 재료를 연하게 하거나 내부 응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온에서 소재를 매우 천천히 냉각하는 처리. 어닐링 쌍정, annealing twin, 燒なまし雙晶 면심 입방 구조(FCC)의 금속을 가공한 후 어닐링을 하였을 때 나타나는 쌍정. 어닐링 조직, annealed structure, 燒なまし組織 어닐링하여 생긴 조직. 강에서 펄라이트는 어닐링하면 나타나는 일반적인 조직이다. 어닐링 취성, annealing embrittlement, 燒なましぜい性 어닐링하였을 때 연화되지 않고 오히려 취성이 증가하는 현상. 저탄소강 또는 극저탄소강을 - 44 -

850~900℃에서 어닐링을 행하면 강도나 연신율은 거의 변하지 않으나 충격값은 매우 낮아 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어닐링에 의해 시멘타이트가 페라이트 입계에 띠형태로 석출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엄지 손톱 균열, thumb-nail crack, 親指の爪割れ 엄지 손톱 형태의 반원형 균열. 퀜칭 온도가 특히 높거나 끝부분의 온도가 불균일할 때 생 긴다. 엎퀜칭, up-quenching, アツブクエンチング 비교적 저온(그러나 Ms온도이상)의 냉각제에 퀜칭하고, 즉시 소정의 고온욕에 넣어서 급히 가열한 후 그 온도에서 오스템퍼링을 행하는 처리. S곡선, S curve, S曲線 과냉 오스테나이트의 등온 변태 곡선. 즉, 오스테나이트 상태의 강을 급랭하여 일정한 온도 에서 등온 변태시킬 때의 변태 개시 시간과 완료 시간을 온도와 시간축에 종합하여 나타낸 그림. 변태 곡선이 S자 모양으로 나타나며 등온 변태 곡선이라고도 함. SAC법, SAC rating, SAC法 표면 경도(S)- 면적(A)-중심 경도(C)에 의한 경화능의 비교 시험법. S형 열전대, S-type thermocouple, S型熱電對 10%Rh․Pt-Pt선으로 구성된 열전대로서 산화성 분위기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온도 범위는 -20~1480℃임. Ar′변태, Ar′transformation, Ar′変態 강을 퀜칭하였을 때 오스테나이트에서 미세한 펄라이트가 생기는 변태. 이러한 미세한 펄라 이트가 생성되지 않고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임계 냉각 속도보다 빠르 게 냉각시켜야 한다. Ar″변태, Ar″transformation, Ar″変態 강을 퀜칭하였을 때, 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하는 변태(그 온도를 Ms점이라고도 한다). Ar1 점, Ar1 point, Ar1点 냉각 중에 오스테나이트가 페라이트로 또는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로 변태하기 시작하는 온 도. Ar3 점, Ar3 point, Ar3点 냉각 중 오스테나이트가 페라이트로 변태하기 시작하는 온도. Arcm 점, Arcm point, Arcm点 과공석강에서 냉각중 오스테나이트로부터 시멘타이트로의 변태가 시작하는 온도. Ar4 점, Ar4 point, Ar4点 냉각중 δ페라이트가 오스테나이트로 변태하는 온도. - 45 -

As점, As point, As点 오스테나이트로의 변태가 시작하는 온도. 다음 공식에 의해서 대략 As점을 계산할 수도 있 다. As(℃) = 723 - 14×%Mn + 22×%Si - 14.4×%Ni + 23.3×%Cr

Af점, Af point, Af点 오스테나이트로의 변태가 끝나는 온도. 다음 공식에 의해서 대략 Af점을 계산할 수도 있다. Af(℃) = 854 -180 × %C -14 × %Mn + 44 × %Si - 17.8 × %Ni -1.7 × %Cr Acm 변태, Acm transformation, Acm変態 과공석강의 상변태. 과공석강에서 시멘타이트가 오스테나이트에 고용되거나(가열시 Accm), 또는 석출하는(냉각시 Arcm) 현상이 일어나는 변태. Ac1 점, Ac1 point, Ac1点 가열 중 오스테나이트가 형성하기 시작하는 온도. Ac3 점, Ac3 point, Ac3点 가열 중 페라이트가 오스테나이트로의 변태가 완료하는 온도. Ac4 점, Ac4 point, Ac4点 가열 중 오스테나이트가 δ페라이트로 qusxo하기 시작하는 온도. Accm 점, Accm point, Accm点 과공석강에서 가열시 시멘타이트가 오스테나이트로의 고용이 완료하는 온도. A0 점, A0 point, A0点 시멘타이트(Fe3C)의 자기 변태 또는 시멘타이트의 큐리점(Curie point) A1 변태, A1 transformation, A1変態 강의 공석 변태(γ↔Fe3C+α). A2 변태, A2 transformation, A2変態 철의 자기(磁氣) 변태. A3 변태, A3 transformation, A3変態 순철의 동소 변태(α철↔γ철). A4 변태, A4 transformation, A4変態 순철의 동소 변태 (γ철↔δ철). H 도표, H chart, H チャ-ト 경화능 도표. Du/D와 HD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로서, Du는 경화되지 않는 내부의 지름, D는 환봉의 지름, H는 급랭도를 말한다. H 띠, H band, H バンド - 46 -

경화능 띠. 조미니 시험에서 얻어진 경도 변화 곡선의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의 띠를 말함. H 선, H line, H ライン 경화 깊이와 환봉의 지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 M 퀜칭, M quenching, M クエンチ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얻는 퀜칭. Md 점, Md point, Md点 과냉 오스테나이트에 소성 변형을 주어 오스테나이트가 Ms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마르텐사 이트로 변태될 수 있는 제일 높은 온도. 즉 Md점 이상에서는 아무리 소성 변형을 많이 주 어도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일어나지 않는다. Md에서의 d는 “dynamic”을 말한다. Mb 점, Mb point, Mb点 합금에서 냉각시 오스테나이트의 변태가 지연되다가 한꺼번에 많은 양의 마르텐사이트로 폭 발적으로 변태가 일어나는 온도. Mb에서의 b는 “burst”를 말한다. Ms 점, Ms point, Ms点 martensite start point의 약자이며, 냉각에 의해 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가 시 작되는 온도. Ms′점, Ms′point,, Ms′点 안정화한 오스테나이트가 재차 마르텐사이트화 하는 온도. Ms 퀜칭, Ms quenching, Msクエンチ Ms점 직하의 염욕으로 퀜칭한 후 강재의 내외부 온도가 비슷해지도록 그 온도를 유지한 후 다시 퀜칭하여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얻는 처리. Mf 점, Mf point, Mf 点 martensite finish point의 약자이며, 냉각에 의해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완료하는 온도. Mf점 (℃)은 다음과 같이 대략 계산할 수도 있다. Mf(100% M) = Ms - (215 ± 15) Mf(90% M) = Ms - (103 ± 12) Mf(50% M) = Ms - (47 ± 9) Mf(10% M) = Ms - (10 ± 3) 역어닐링, inverse annealing, 逆燒なまし 주철을 어닐링할 때 석출에 의해 오히려 경화하는 현상. 역칠, inverse chill, 逆チル 느리게 냉각된 자리에 오히려 칠부분이 생기는 현상. 역편석, inverse segregation, 逆偏析 일반적인 편석 현상과는 반대로 저융점 성분이 최초에 응고되는 부분에 편석이 일어나는 현 상. - 47 -

연마 균열, grinding crack, 硏磨割れ 퀜칭한 부품을 연마할 때 연마면에 나타나는 미세한 균열. 연마시 생기는 열에 의해 퀜칭 조직이 템퍼링되면서 수축을 유발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마 자국, grinding burn, 硏磨燒け 연삭열에 의한 조직 변화 때문에 표면에 생기는 변색된 부분. 연삭성, grindability, 硏削性 연삭의 난이를 나타내는 성질. 연성, ductility, 延性 파괴없이 소성 변형이 일어나는 재료의 성질이며, 인장 시험에서 늘어난 길이 또는 단면 수 축량으로 측정된다. 연성 파괴, ductile fracture, 延性破壞 소성 변형이 잘 일어나고 많은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수반되는 금속의 파단. 연속 냉각, continuous cooling, 連續冷却 오스테나이트 상태에서 실온까지 여러 가지 냉각 속도로 계속 냉각시키는 처리. 연속 냉각 변태 곡선, continuous cooling transformation diagram, 連續冷却変態曲線 오스테나이트 상태에서 여러 종류의 냉각 속도로 연속 냉각하였을 때, 생기는 변태나 조직 을 온도와 시간축에 나타내는 곡선(CCT 곡선). 등온 변태 곡선과 비교할 것. 연속로, continuous furnace, 連續爐 가공 재료를 노내에서 자동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장치가 부착되어 있어, 연속적으로 열처 리할 수 있는 노. 연속상, continuous phase, 連續相 여러 상(相)으로 구성된 합금에서, 각 상이 별개의 단위로 연속적으로 기지(matrix)를 형성 하고 있는 상. 연속 석출, continuous precipitation, 連續析出 과포화 고용체에서 용질 원자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속적으로 석출하여 기지의 격자 상수 가 천천히 변화는 현상. 연욕, lead bath, 鉛浴 납(Pb)을 용융시켜 놓은 상태의 조(槽)를 말함. 납은 약 327℃에서 용융되므로, 이 이상의 열욕으로 사용된다. 또 용융납은 열전도가 좋기 때문에 연욕 가열은 급속 가열용으로, 연욕 냉각은 열욕 퀜칭, 오스템퍼링 등에 이용되고 있다. 단, 납은 비중이 크기 때문에 강 부품이 부상할 염려가 있다. 연욕 경화, lead bath hardening, 鉛浴硬化 용융 연욕에서 실시하는 경화 처리. - 48 -

연점, soft spot, 燒むら 퀜칭하였을 때 국부적으로 생기는 경화되지 않은 부분. 연화점과 같은 단어. 연질화, soft nitriding, 軟窒化 침질 탄화를 말함(이 용어는 올바른 표현이 아님). 연화, softening, 軟化 강재를 연하게 하여 기계 가공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행하는 열처리. 보통 A1점(726℃) 바로 아래 온도까지 가열하였다가 천천히 냉각시킨다. 연화 어닐링, soft annealing, 軟化燒なまし 기계 가공성을 증가하기 위하여 강재를 연하게 하는 어닐링. 연화를 참조할 것. 연화 육성, soft facing, 軟化肉盛 연한 금속을 단단한 소재 표면에 용착시키는 처리. 연화점, soft spot, 軟化点 퀜칭하였을 때 표면이 국부적으로 열처리가 되지 않아 연한 부분. 연점과 같은 단어. 연화 템퍼링, soft tempering, ソフト燒もどし 최저의 경도 및 인장 강도가 되도록 템퍼링하는 처리. 열간 가공, hot working, 熱間加工 재료의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실시하는 소성 가공. 한 번에 큰 변형이 가능하며 중간 소재 를 생산할 때 이용한다. 열간 균열, hot tear crack, 熱間割れ 주물이 응고하는 도중 또는 높은 온도일 때 내부의 응력에 의해 표면에 생기는 미세한 균 열. 열간 성형, hot forming, 熱間成形法 높은 온도에서 재료를 성형하는 처리. 열간 치수 마무리, hot sizing, ホツト サイジング 가열된 형틀에 넣고 마무리 성형하는 방법. 열간 성형의 일종. 열간 퀜칭, hot quenching, ホツメ クエンチ 퀜칭 균열이나 퀜칭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70℃ 이상의 퀜칭액에 퀜칭하는 처리. 열간 피닝, hot peening, ホツト ピ-ニング 과냉 오스테나이트를 Ms 온도 이상에서 피닝을 행하는 가공 열처리. 마르가공 (mar-working)의 일종이다. 열균열, heat checking, 熱龜裂 1)열간 공구강 부품을 고온에서 사용중 표면에 형성된 거북이의 등 모양으로 생긴 망상의 미세한 균열. - 49 -

2) 열간 공구강과 같이 급격한 가열 및 냉각의 반복 때문에 발생한 표면의 미세한 균열. 열교환기, recuperator, 熱交換器 파이프의 바깥 부분에 회수 가스를 흘려 파이프 내부의 물이나 가스를 예열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열기전력, thermal electromotive force, 熱起電力 한쌍의 다른 조성으로 된 합금선을 용접하여 측정코자 하는 고온 부위(온접점)와 기준 온도 인 냉접점 사이의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전력이며, 이 기전력은 온접점과 냉접점 사 이의 온도차에 비례하므로 이 기전력을 온도로 환산할 수 있다. 열변형, thermal strain, 熱ひずみ 열응력에 의해 부품에 생기는 변형. 열분석, thermal analysis, 熱分析 가열 및 냉각 도중 상변화에 따른 열의 흡수 및 방출의 변화 속도를 조사하는 방법. 열선 시험, hot wire test, 熱線試驗 저항선을 이용하여 퀜칭유의 열추출 능력을 시험하는 방법. 빨리 열이 추출되는 퀜칭제는 더 빨리 냉각되므로 더 많은 전류가 흐른다. 열수축, thermal shrinking, 熱締め 마모된 원통형 공구의 내부나 금형을 재생시키기 위해 변태점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후 급랭 시켜 열변형과 변태 변형을 이용하여 내경을 축소시키는 처리. 열싸이클, heat cycle, 熱サイクル 열처리할 때의 가열하는 온도와 시간 그리고 냉각 온도와 냉각 속도를 나타내는 과정. 열안정 시험, heat stabilization test, 熱安定試驗 고온 증기 터어빈용 로터를 고온으로 가열후 고속 회전시켜서 편심도를 측정하는 시험. 열에너지, thermal energy, 熱エネルギ열이 함유하는 에너지. 열영향부, heat affected zone(HAZ), 熱影響部 용접 제품에서 용접시에 소모된 열의 영향을 받아 조직이나 성질이 바뀐 부분. 열욕 퀜칭, hot bath quenching, 熱浴燒入れ 열욕에 퀜칭하는 처리. 열퀜칭(thermo quenching)이라고도 함. 열응력, thermal stress, 熱応力 가열 및 냉각시에 소재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소재에 생기는 내부 응력. 열전도율, thermal conductivity, 熱傳導率 물체 내에 열이 전도될 때 온도 기울기 방향으로 측정 길이 p, 온도 차이를 t라 할 때 단위 시간에 흐르는 열량 Q=-K(dt/dp)이며, 여기서 K를 열전도율이라 한다. - 50 -

열전대, thermocouple, 熱電對 Ni-Cr-Ni, Pt-Rh-Pt 등과 같은 한쌍의 합금선으로 된 온도계. 그 원리는 두 합금선이 용접 되어 연결된 측정 부위와 기준 온도인 냉접점(실온 또는 0℃)사이의 온도 차이에 의해 두 합금선에 기전력이 발생하는데 이 기전력이 온도차에 비례하므로, 이 기전력을 온도로 환산 하는 것이다. 열조질, heat refining, 熱調質 강을 강인하게 하기 위하여 열처리에 의해 강의 결정립의 크기를 미세화 하는 처리. 열조질, thermal refining, 熱調質 퀜칭 및 템퍼링에 의한 금속 재료의 조질 처리. 열처리, heat treatment, 熱處理 금속의 조직과 성질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행하는 가열과 냉각 처리의 총칭. 열처리능, heat treatability, 熱處理性 열처리의 난이성을 나타내는 성질. 열처리로, heat treating furnace, 熱處理爐 열처리에 사용하는 노. 열처리 싸이클, heat treatment cycle, 熱處理サイクル 열처리를 하기 위한 가열, 유지 및 냉각 과정. 열처리 조직, heat-treated structure, 熱處理組織 열처리하여 얻은 금속의 조직. 열충격, thermal shock, 熱衝擊 하나의 소재에 온도 기울기가 강하여 큰 열응력을 수반하는 현상. 열처리 피막, heat treating film, 熱處理被膜 열처리에 의해 생기는 산화 피막. 열퀜칭, thermo quenching, サ-モ․クエンチ 열욕에서 냉각하는 퀜칭 처리. 열욕 퀜칭(hot bath quenching)이라고도 함. 열피로, thermal fatigue, 熱疲勞 반복적인 온도 변화로 인해 생기는 열응력 때문에 일어나는 취화 현상. 염수 퀜칭, brine quenching, 鹽水急冷 소금물 속에서 실시하는 퀜칭 처리. 염욕, salt bath, 塩浴 열처리에 사용하기 위해 각종 염(NaCl, KCl, NaCO3등)을 혼합하여 용융시켜 놓은 상태. 염 욕의 종류에는 염욕제의 종류에 따라 중성욕(고온, 중온, 저온), 침탄 질화욕(액체 침탄 질화 - 51 -

용), 침황욕 등이 있다. 염욕의 특징은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승온 속도 및 냉각 속도가 빠 르며, 무산화 처리가 가능하다. 염욕 경화, salt bath hardening, 塩浴燒入れ 오스테나이트화된 강을 저온의 염욕에 퀜칭하여 경화시키는 처리. 염욕 침붕, salt bath boronizing, 塩浴ボロナイジング 염욕에 의해 붕소(B)를 침투시키는 처리. 염욕 열처리, salt bath heat treatment, 塩浴熱處理 염욕에서 실시하는 열처리의 총칭. 염욕 질화, salt bath nitriding, 塩浴窒化 염욕에서 질화시키는 처리. 염욕 침질 탄화, salt bath nitrocarbuizing, 塩浴侵窒炭化 염욕에서 침질 탄화시키는 처리. 염욕 침탄, salt bath carburizing, 塩浴浸炭 염욕에서 침탄시키는 처리. 액체 침탄을 참조할 것. 염욕 침탄 질화, salt bath carbonitriding, 塩浴浸炭窒化 염욕에 의해 침탄 질화시키는 처리. 염욕 침탄 질화제, salt bath carbonitriding medium, 塩浴浸炭窒化劑 염욕에서 침탄 질화할 때 사용하는 침탄 질화제. 염욕 침탄제, salt bath carburizer, 塩浴浸炭劑 혼합염을 용융하여 침탄시키는 물질. 염욕 퀜칭, salt bath quenching, 塩浴燒入れ 용융염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퀜칭. 열욕 퀜칭(hot bath quenching)을 참조. 염욕 크로마이징, salt bath chromizing, 塩浴クロマイジング 염화 크롬을 함유하는 염욕(염욕의 온도는 보통 500~1200℃)에 의해 크롬을 표면에 침투시 키는 처리. 염욕 패턴팅, salt patenting, 塩浴ペテンチング 염욕에서 패턴팅하는 처리. 즉 오스테나이트화 시킨 강재를 500~550℃의 염욕에 냉각시켜 미세한 층상 펄라이트 조직을 얻어 이것을 인발한다. 패턴팅을 참조할 것. 예민화 현상, sensitization, 銳敏化處理 오스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450~850℃ 구역에서 가열하였을 때 입계에 크롬 탄화물이 석 출되어 입계 부근에 크롬의 양이 적어지게 되어 입계를 따라 내식성이 열화되는 현상(예민 화 온도, 450~850℃). - 52 -

예비 구상화, pre-spheroidizing, 豫備球狀化 크기가 크고 분포가 불균일한 탄화물을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하여 포정 반응을 이용하여 공정 탄화물로 구상화하는 처리. 포정 온도(18-4-1형 고속도강에서는 1345℃) 부 근에서 2~3시간 가열후 천천히 냉각시킨다. 예비 어닐링, pre-annealing, 豫備燒なまし 백주철의 흑연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미리 A1점 이하의 적당한 온도에서 실시하는 어닐링. 예비 응력 성형, prestress forming, プレストレス プオ-ミング 미리 응력을 가한 다음 가열 성형하는 방법. 예열, pre-heating, 豫熱 소재를 열처리하고자 하는 온도 이하의 중간 온도로 미리 가열하는 처리. 오스드로잉, ausdrawing, オ-スドロ-イング 오스포밍(ausforming) 처리를 강선 인발에 적용하는 가공 열처리. 보통 오스테나이트화 시 킨 선재를 450~550℃에서 40~50% 고온 인발후 공랭시킨 뒤에 템퍼링을 행한다. 오스로링, ausrolling, オ-スロ-リング 과냉 오스테나이트를 압연한 다음 퀜칭하고 이것을 템퍼링하는 가공 열처리. 오스몬다이트, Osmondite, オスモンダイト 퀜칭한 강을 400℃부근에서 템퍼링할 때 나타나는 조직으로서, 소르바이트와 트루스타이트 의 중간 조직이다. (현재는 잘 쓰이지 않음). 오스에이징, ausaging, オ-スエ-ジング 오스테나이트 상태의 시효 처리. 25%Ni형 마르에이징강을 820℃에서 오스테나이트화 한 후 공랭을 하면 오스테나이트가 되는데(Ms점이 상온 이하이므로), 이 오스테나이트를 마르텐사 이트화 하기 위하여 700℃에서 재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에서 탄화물을 석출시키는 처리를 말하다. 마르에이징과 비교할 것. 오스테나이트, austenite, オ-ステナイト 강을 A1변태점(공석강) 이상 또는 A3(아공석강)와 Acm(과공석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였을 때 나타나는 탄소를 고용하고 있는 면심 입방 격자의 고용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 austenite grain size, オ-ステナイト結晶粒度 오스테나이트 영역으로 가열했을 때 강의 결정립 크기. 오스테나이트 만(湾), austenite bay, オ-ステナイト湾 S 곡선에서 과냉 오스테나이트가 가장 늦게 페라이트로 변태하는 구역으로, 이 지역에서는 오스테나이트가 안정하므로 오스포밍(ausforming)을 행할 수 있다. 오스테나이트 스트레싱, austenite stressing, オ-ステナイト加壓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오스테나이트에 압력을 가하는 처리.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austenite stabilization, オ-ステナイトの安定化 - 53 -

Ms점 이하로 퀜칭한 후 장시간 유지한 다음 더욱 온도를 강하시켜 퀜칭하여도 오스테나이 트가 마르텐사이트로 쉽게 변태되지 않는 현상. 이 현상은 퀜칭 냉각 속도에도 관계되는데, 냉각속도가 느릴수록 오스테나이트가 안정화되므로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많아진다.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 austenite stabilizer, オ-ステナイト安定化元素 Ni, Mn 등과 같이 A1점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서 오스테나이트 영역을 확장시키는 원소를 말함. 오스테나이트 조직, austenite structure, オ-ステナイト組織 오스테나이트 단상으로 된 강의 조직. 오스테나이트 형성 원소, austenite forming element, オ-ステナイト形成元素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 참조. 오스테나이트화, austenitizing, オ-ステナイト化 변태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강 전체를 오스테나이트 단일상으로 변태시키는 처리. 오스템퍼링, austempering, オ-ステンパ 과냉 오스테나이트를 Ms 온도보다 높은 온도(250℃~600℃)의 염욕에 퀜칭한 후, 이 온도에 서 등온 유지시켜 베이나이트 변태가 일어나도록 한 다음 수냉 또는 공랭시키는 열처리. 마 르템퍼링(martempering)과 비교할 것. 오스포밍, ausforming, オ-スフオ-ミング 과냉 오스테나이트를 S 곡선의 오스테나이트 만에 있는 온도(Ms 온도 이상)로 퀜칭한 후, 이 온도에서 소성 가공을 행한 다음 페라이트 변태가 일어나기 전에 퀜칭을 행하는 가공 열 처리. 오스테나이트(austenite)와 변형(deformation)의 합성어임. 오스포징, ausforging, オ-ス鍛造 과냉 오스테나이트를 260℃~550℃의 온도 범위에서 단조한 다음 퀜칭하는 가공 처리. 오스폼 경화, ausform hardening, 加工燒入れ 오스테나이트를 소성 가공한 다음 퀜칭하여 경화시키는 가공 열처리. 오스폼 어닐링, ausform annealing, 加工燒なまし 오스테나이트를 소성 가공한 다음 어닐링하는 처리. 5초 시험법, five-second test, 5秒試驗法 퀜칭유의 냉각 능력을 비교하는 시험법. 스테인리스 환봉을 퀜칭유에 5초간 퀜칭한 후 퀜칭 유의 온도 상승을 비교하는 시험. OP 패턴팅, OP patenting, OP パテンチング old process patenting을 말하며, 납 패턴팅의 뜻임. 온간 가공, warm working, 溫間加工 1)상온보다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행하는 가공. 2)강을 용체화 처리후 650~800℃에서 행하는 소성 변형 가공. - 54 -

온간 경화, warm hardening, 溫間硬化 실온 이상의 온도에서 일어나는 석출 경화(인공 시효와 동일). 온간 단조, warm forging, 溫間鍛造 강재의 중심부에 건전한 단조 조직을 얻기 위하여 표면 온도가 700~800℃이고, 중심부 온 도가 1100~1200℃일 때 행하는 단조. 온도 기울기, temperature gradient, 溫度勾配 두 점 사이의 온도차를 거리로 나눈 값. 온도 페인트, thermopaint, サ-モペイント 온도 측정용 도료. 온도 측정 크레파스, tempilstik, テンピルステイツク 온도 측정에 사용되는 색깔 표시 크레파스. 온도 측정 표시정제, tempil pellet, テンピルペレツト 온도 측정에 사용되는 색깔 표시 정제. 온도 측정 표시액, tempilaq, テンピラツク 온도 측정에 사용되는 표시액. 올케이스로, all case furnace, オ-ルケ-ス爐 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로, 반연속 배치로. 완전 경화, full hardening, フル ハ-ドニング 전체를 100% 마르텐사이트화 하는 경화법. 완전 어닐링, full annealing, 完全燒なまし A3 변태점 이상에서 가열한 강을 노내에서 매우 천천히 냉각하는 처리. 최소의 강도와 경도 를 얻기 위해 처리하는 어닐링 싸이클로서, 주로 노냉을 행한다. 완전 오스테나이트화, full austenitizing, 完全オ-ステナイト化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완전히 오스테나이트로 변하게 하는 처리. 완화 어닐링, relaxation annealing, 緩和燒なまし 연화만을 목적으로 하는 어닐링 처리. 완화 침탄, mild carburizing, 緩和浸炭 과잉 침탄을 방지하기 위해 침탄능을 억제한 침탄 처리. 용기 어닐링, pot annealing, ポット燒なまし 용기 속에서 행하는 어닐링. 용융 분리, liquation, 溶離 - 55 -

합금이 용융 또는 응고시에 한개의 성분이 분리하는 현상. 용융 분리 온도, liquation temperature, 熔融分離溫度 합금 내에 부분 용융이 일어나 편석이 가장 쉽게 나타날 수 있는 최저 온도. 용체화 어닐링, solution annealing, 溶体化燒なまし 고용체 상태에서 급랭하여 완전 고용체를 얻는 어닐링 처리. 1)합금을 고용체 온도까지 가열하여 그 온도에서 충분히 성분 원소 및 화합물들이 고용되게 한 후 급랭하여 과포화 고용체를 얻는 처리. 2)오스테나이트강을 1000℃ 이상으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충분히 성분 원소 및 탄화물들 이 고용되게 한 후 퀜칭하여 과포화 고용체를 그대로 실온까지 지속되게 하는 처리. 용체화 처리, solution heat treatment, 溶体化處理 합금의 과포화 고용체를 얻기 위한 열처리 방법. 즉 용체화 온도까지 가열한 후, 그 온도에 서 성분 원소들이 충분히 고용되게 한 후 퀜칭하여 과포화 고용체가 실온에서까지 존재하게 하는 처리. 용침, infiltration, 溶浸 소결 금속이나 복합 재료의 기공을 저융점 재료로 채우기 위하여 저융점 금속의 용탕 속에 침지시킨 후 꺼내는 처리. 용해도 곡선, solubility curve, 溶解度曲線 상태도에서 온도에 따라 용매 원자에 용질 원자가 용해될 수 있는 한계를 나타내는 곡선. 워킹빔 로, walking beam furnace, ウオ-キングビ-ム爐 고정 레일이 아니라 이동 레일이 상하 전후로 움직여 부품을 장입하면서 열처리할 수 있는 노. 위드만스테텐 조직, Widmanstätten structure, ウィドマンステツテン組織 아공석강을 가열시 1100℃ 이상의 오스테나이트 상 영역으로 가열한 후에 냉각하면 결정립 은 조대화되고, 페라이트가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에 석출해서 침상을 나타내는 조직으로 서, 전형적인 과열 조직 중에 하나이다. 위스타이트, wüstite, ウスタイト FeO와 산소 또는 철과의 고용체. 위스트, wüst, ウユスト 철-탄소 합금에서 오스테나이트와 시멘타이트의 공정 조직(레데브라이트라고도 함) 위험 구역, dangerous zone, 危險區域 MS~Mf 사이의 온도 구역을 말함. 과냉 오스테나이트가 이 온도 구역에서 마르텐사이트로 변하면서 체적이 팽창하여 퀜칭 균열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U곡선, U curve , U曲線 환봉을 퀜칭하였을 때 생기는 단면 경도의 변화 곡선. 경도가 표면에서는 높고 중앙부에서 는 낮아 U자 형태를 나타내므로 U곡선이라 한다. - 56 -

유동상로, fluidized bed furnace, 流動床爐 모래, 알루미늄, 흑연 등의 미립자를 유동시켜 열처리하는 로. 유동상 침탄, fluidized bed carburizing, 流動床浸炭 유동상로에서 실시하는 침탄. 유동선, flow line, 流線 압연, 단조 등의 소성 가공에 의해서 결정립 또는 수지상 결정 등이 연신 방향으로 정렬하 여 생긴 줄. 유동 입자 퀜칭, fluidized particle quenching, 粒動燒入れ 모래, 알루미늄, 흑연 등의 미립자를 노의 밑에서 송풍하여 유동시킨 유동상로에서 퀜칭하는 조작. 유령선, ghost line, 幽靈線 강에서 인(P)의 편석에 의한 줄무늬 모양의 조직. 유리 경도, glass hard, ガラス硬度 HRC 66 이상이 되어 유리와 같이 높은 경도. 줄경도(file hardness, ヤスリ硬度)라고도 한다. 유리 시멘타이트, free cementite, 遊離セメンタイト 펄라이트 입계에 유리되어 있는 망상의 시멘타이트. 유리 탄소, free carbon, 遊離炭素 주철 중에 시멘타이트 상태가 아닌 흑연 상태로 존재하는 탄소. 유사 질화, pseudo nitriding, 類似窒化 질화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질화 처리와 똑같이 행하는 열처리. 공질화(blank nitriding)라고 도 함. 유사 침탄, pseudo carburizing, 擬似浸炭 침탄제를 사용하지 않고 침탄 처리와 똑같이 행하는 열처리. 공침탄(blank carburizing)라고 도 함. 유지, holding, 保持 가열 중 부품의 온도를 일정하게 하는 유지하는 것. 유지 시간, holding time, 保持時間 열처리하는 도중 부품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시간. 유지 온도, holding temperature, 保持溫度 열처리하는 도중 부품이 유지되는 일정한 온도. 유효 경화 깊이, effective case depth, 有效硬化深度 표면에서 어느 특정 경도까지의 경화 깊이. 특정 경도는 표면 경화법과 사용 목적에 따라 - 57 -

각각 다르지만 침탄시는 HRC 50(Hv 513)이 유효 경화 깊이이다. 유핵(有核) 조직, cored structure, 有核組織 고용체가 응고할 때 처음에 응고한 부분(핵)과 나중에 응고한 부분의 조성 차이 때문에 생 긴 비평형 조직. 유화유 퀜칭, emulsified oil quenching, 乳化油燒入れ 물과 기름의 유탁화유(乳濁化油)에 실시하는 퀜칭. 윤곽 경화, contour hardening, 倣い燒入 부품의 외형을 따라 표면을 경화시키는 처리. 음경화, negative hardening, ネガチイブ硬化 변태점 이하의 온도에서 물이나 기름 속으로 급랭하여 연화시키는 처리. 응고 범위 solidification range, 凝固範圍 액체와 고체가 공존하는 범위. 응력 가열, stress heating, 荷重加熱法 재료에 하중을 가하면서 가열하는 방법. 응력 가열을 하는 목적은 항복 강도와 인장 강도를 높이고, 기계적 성질의 이방성 및 뒤틀림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응력 균일화, stress equalizing, 應力均一化 상온 가공한 금속의 기계적 강도를 크게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내부 응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저온 열처리. 응력 시효, stress aging, 応力時效 응력을 가하면서 시효 처리를 병행하는 열처리. 가열 온도는 재결정 온도보다 약 100℃ 낮 으며 항복 강도 정도의 외력을 장시간(4~20시간) 가한다. 응력 가열의 일종. 응력 제거 어닐링, stress relief annealing, ひずみ取り燒なまし 잔류 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행하는 어닐링 처리. 어닐링 온도는 강에서는 450~650℃, 주철 주물에서는 500℃ 부근, 황동에서는 180~200℃, 동합금에서는 180~300℃, 니켈 합금에서는 280~490℃ 정도이다. 응력 제거 처리, stress relieving, 歪除去燒なまし 기계 가공할 때 생긴 잔류 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열처리. 응력 제거 온도, stress relief temperature, 応力除去溫度 잔류 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가열 온도. 응력 피닝, stress peening, ストレス․ピ-ニング 응력을 계속 주면서 숏피닝하는 처리. 응집 경화, cluster hardening, クラスタ-硬化 석출 경화의 초기 단계에서 고용 원자가 석출 응집하여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경 - 58 -

화되는 현상. 의이원계 상태도, pseudo-binary diagram, 擬2元系狀態圖 다원소의 화합물을 하나의 원소로 보고 그 화합물과 주 원소로 구성된 2원계 상태도. 2단 경화, stepped hardening, 引上げ燒入れ 급랭하는 도중에 중간 온도에서 꺼내어 서냉하는 처리. 2단계 어닐링, second stage annealing, 第2段燒なまし 백선을 흑심 가단 주철로 하기 위해서 일단계 어닐링한 후, A1변태점 바로 아래 온도에서 장시간 유지하여 펄라이트 속의 시멘타이트를 흑연화하는 어닐링 처리. 이에 비교하여 유리 시멘타이트를 흑연화시키는 어닐링(A1변태점 이상으로 가열)을 1단계 어닐링(first stage annealing)이라 한다. 2단 노르말라이징, two-stepped normalizing, 2段燒ならし 오스테나이트화 시킨 부품을 약 550℃까지 공랭한 다음, 그 이후에는 천천히 냉각을 시키는 2단 냉각에 의한 노르말라이징 처리. 2단 질화, double-stage nitriding, 2重窒化法 가스 질화를 1차와 2차로 나누어서 하는 처리. Al을 포함하는 질화강에서 백색층(white layer)을 작게 하려는 목적으로 행한다. 2단 퀜칭, two-stepped quenching, 2段燒入れ 퀜칭 온도로 가열한 강을 처음에는 물에 퀜칭하고 적당한 온도까지 냉각한 후 꺼내어 곧 기 름 속에서 냉각하는 처리. 이리그법, ihrigizing, イ-リツグ法 철강의 표면에 고규소를 피복시키는 열처리법. 이상 연소, ideal burning, 理想燃燒 공기의 과부족이 없는 원료 가스의 이상적인 연소. 이상 임계 직경, ideal critical diameter, 理想臨界直徑 조미니 시험에서 이상적으로 퀜칭했을 때 중심부에 50%의 마르텐사이트가 존재할 수 있는 임계 직경. 이상 직경이라고도 함. 이상 직경, ideal diameter, 理想直徑 이상 임계 직경이라고도 함. 이상 퀜칭, ideal quenching, 理想燒入れ 퀜칭한 순간 강의 표면이 퀜칭액의 온도와 같게 하는 퀜칭(H=∞) 이송 가스, carrier gas, 移送ガス 표면 경화 처리에 사용하는 가스와 함께 넣어주는 가스. 이온 질화, ion nitriding, イオン窒化 - 59 -

글로우 방전에 의한 질화 처리. 금속 용기(레토르트)를 양극, 질화시킬 재료를 음극으로 연 결한 후 용기 속을 진공으로 하고 질화용 가스(N와 H)를 흘리면서 전압을 높여 글로우 방 전이 일어나게 하여 질화시킨다. 플라즈마 질화라고도 함. 2중 가공 열처리, double thermomechanical treatment, 2段加工熱處理 고온 가공 열처리와 저온 가공 열처리를 조합한 열처리. 2중 납패턴팅, double lead patenting, ダブル鉛パテンチング 패턴팅 처리할 때, 용융납 속에서 오스테나이트화 온도까지 가열한 후, 퀜칭도 용융납에서 하는 처리. 2중 노말라이징, double normalizing, 2重燒ならし 과열된 강의 조직을 미세하게 하거나 강의 인성을 높이기 위해 높은 온도와 낮은 온도에서 두 번 노르말라이징하는 처리. 2중 시효, double aging, 2重時效 요구되는 기계적 성질을 얻기 위하여 과포화 고용체로부터 형성되는 석출물의 종류를 조절 항수 있도록 두가지 다른 시효를 행하는 처리. 2중 어닐링, double annealing, 2重燒なまし Ac3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한 후 Ac1변태점 직하까지 급랭한 다음, 다시 Ac3 변태점 바로 위 까지 가열한 후 천천히 냉각하는 처리. 2중 질화, double-stage nitriding, 2重窒化法 가스 질화를 1차와 2차로 나누어서 하는 처리. 2중 퀜칭, double quenching, 2重燒入れ 강을 미세화하고, 취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스테나이트화한 후 퀜칭하는 처리를 2번 하는 처리. 2중 템퍼링, double tempering, 2重燒もどし 템퍼링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도록 하므로써 안정한 미세 조직을 얻을 목적으로 퀜칭된 소재 를 주로 같은 온도에서 두번 실시하는 템퍼링. 2차 경화, secondary hardening, 2次硬化 1)퀜칭하였을 때 남아 있는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템퍼링에 의하여 경화되는 현상. 2)특수 탄화물의 석출에 의한 2차 경화. 3)1차 퀜칭 후에 침탄 부품의 표면층을 경화시키기 위하여 행하는 퀜칭 처리. 2차 고용체, secondary solid solution, 2次固溶体 2종류의 금속이 모체 금속에 고용되어 중간 조성의 어느 조성 범위에 걸쳐 형성된 고용체. 2차 베이나이트, secondary bainite, 2次ベイナイト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등온 템퍼링할 때 생기는 베이나이트. 2차 재결정, secondary recrystallization, 2次再結晶 1차 재결정후 온도를 상승시키면 잠복 기간이 지난 다음, 특정 결정립만이 급속히 성장하여 - 60 -

조대화하는 현상. 2차 퀜칭, secondary quenching, 2次燒入れ 1차 퀜칭후 침탄된 부분(경화층)의 조직을 더욱 미세하게 할 목적으로 한번 더 퀜칭하는 처 리. 2차 흑연화, secondary graphitizing, 2次黑鉛化 펄라이트 속의 시멘타이트를 흑연화하기 위한 어닐링 처리. E형 열전대, E-type thermocouple, E型熱電對 40%Cr․Ni-45%Ni․Cu선으로 구성된 열전대로서, 사용 온도 범위는 -185~870℃임. CRC열 전대라고도 함. 2회 퀜칭, regenerative quenching, 2回燒入れ 침탄된 부품에 대해 2회 실시하는 퀜칭. 1차 퀜칭과 2차 퀜칭이 있음. 인공 시효, artificial aging, 人工時效 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시효 처리. 인성, toughness, 靭性 재료가 파단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소재의 성질. 인크롬법, inkrom process(IK process), インクロム法 Cr 침투법 중의 한가지. 강 부품을 염화크롬 분말과 함께 넣어 가열한다. 인테그랄 퀜칭로, integral quench furnace, インテグラル ケンチ爐 반연속 배치로. 인프린트, phosphoro print, フオスフォロプリント 인의 분포를 검출하기 위한 인화법. 1단계 어닐링, first stage annealing, 第1段階燒なまし 시멘타이트를 흑연화하기 위한 어닐링 중에서 먼저 유리 시멘타이트를 흑연화하기 위한 어 닐링. 2단계 어닐링(second stage annealing)과 비교할 것. 1단 질화, single-stage nitriding, 1段窒化法 질화 개시에서 종료까지 질소 포텐셜을 일정하게 행하는 질화. 1단 처리, single treating, 1段處理 템퍼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 퀜칭. 1단 퀜칭, single-stage quenching, 1段燒入れ 연속 냉각에 의한 퀜칭. 1차 고용체, primary solid solution, 1次固溶体 주성분 금속과 동일한 결정 구조를 가진 고용체. - 61 -

1차 베이나이트, primary bainite, 1次ベイナイト 오스템퍼링에 의해 생긴 베이나이트.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템퍼링하여 생기는 베이나이트를 2차 베이나이트라 한다. 1차 소르바이트, primary sorbite, 1次ソルバイト 퀜칭에 의해서 생긴 미세 펠라이트(현재는 잘 쓰이지 않음) 1차 시멘타이트, primary cementite, 1次セメンタイト 용융 금속으로부터 액상선을 따라서 정출한 시멘타이트. 1차 오스테나이트, primary austenite, 1次オ-ステナイト 용융 금속에서 액상선에 따라서 정출한 오스테나이트. 1차 조직, primary structure, 1次組織 용융 금속이 응고될 때에 최초로 형성되는 조직. 1차 퀜칭, primary quenching, 1次燒入れ 침탄 후에 중심부의 조직을 치밀하게 하기 위한 퀜칭. 1차 트루스타이트, primary troostite, 1次トル-スタイト 퀜칭할 때 Ar′변태에 의해서 생긴 미세한 펄라이트 현재는 잘 쓰이지 않음 (

)

1차 흑연, primary graphite, 1次黑鉛 용융 금속으로부터 액상선을 따라서 정출한 흑연. 1차 흑연화, primary graphitizing, 1次黑鉛化 유리 시멘타이트를 흑연화 하기 위한 어닐링. 흑심 가단 주철을 만들기 위해 백선을 A1변태 점 이상의 일정 온도(900~950℃)에서 장시간 유지하는 어닐링. 2차 흑연화(secondary graphitizing)과 비교할 것. 임계간 어닐링, intercritical annealing, 臨界間燒なまし 부분적으로 오스테나이트화 하기 위하여 상임계 온도와 하임계 온도 사이의 온도로 가열하 여 유지한 다음 서냉 또는 하임계 온도 이하의 온도로 유지하는 어닐링. 임계 경도, critical hardness, 臨界硬度 전체의 50%가 마르텐사이트일 때의 조직에 해당하는 경도. 임계 경화, critical hardening, 臨界燒入れ 환봉을 퀜칭할 떄, 중심부가 50% 마르텐사이트로 되는 퀜칭 조건. 임계 구역, critical zone, 臨界區域 오스테나이트화 온도에서 붉은 색이 없어질 때까지의 온도 범위. 임계 냉각 속도, critical cooling rate, 臨界冷却速度 마르텐사이트만을 얻기 위한 최소의 냉각 속도. - 62 -

임계 변형률, critical strain, 臨界変形 재결정할 떄 재결정 입자가 생기게 하는 최소 변형률. 임계 어닐링, critical annealing, 変態燒なまし A3변태점 이상의 고용체 범위에서 하는 어닐링. 임계 온도, critical temperature, 臨界溫度 변태점을 임계 온도라고 한다. 변태점을 참조할 것. 임계 온도 구역, critical range, 臨界溫度帶 가열 변태점(Ac)과 냉각 변태점(Ar)의 온도 차이. 임계점하 어닐링, sub-critical annealing, 変態点下燒なまし Ac1 이하 온도에서 실시하는 어닐링. 임계 직경, critical diameter, 臨界直徑 환봉의 중심이 50%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되는 최대 직경. 입계 균열, intercrystalline crack, 結晶粒界破壞 결정립계를 따라 일어나는 균열. 입내 균열, transcrystalline crack, 結晶粒內破壞 결정립내를 가로질러 일어나는 균열. 입방정 마르텐사이트, cubic martensite, 立方晶マルテンサイト β마르텐사이트를 말한다. 입상 펄라이트, granular pearlite, 粒狀パ-ライト 펄라이트 중의 시멘타이트가 입상으로 존재하는 펄라이트. 구상 펄라이트(globular pearlite) 라고도 함. 층상 펄라이트와 비교할 것. 입상화, granulation, 造粒處理 응고된 강을 고상선 부근의 온도까지 가열하여 결정립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수지상 결 정을 재결정시키는 처리

자 자기(自己) 경화, self hardening, 自硬化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로부터 공랭시키는 것만으로 경화되는 현상. 자기 변태, magnetic transformation, 磁氣変態 가열 또는 냉각중 특정 온도에서 재료의 자장의 세기가 변하는 성질. - 63 -

자기 시효, magnetic aging, 磁氣時效 자성이 시간 경과에 따라 열화되는 현상. 자기 어닐링, magnetic annealing, 磁氣燒なまし 자장 내에서 행하는 어닐링 처리. 자기(自己) 어닐링, self annealing, 自己燒なまし 재료 자체의 보유열에 의한 어닐링. 자기 연화, magnetic softening, 磁氣なまし 소재의 도자율 증진을 위해 하는 응력 제거 어닐링. 자기(自己) 퀜칭, self quenching, 自己燒入れ 레이저 표면 경화 처리에서와 같이 표면층을 매우 짧은 시간 동안 국부적으로 급속 가열한 후 재료 자체에 의해 퀜칭되는 현상. 자기(自己) 템퍼링, self tempering, 自己燒もどし 외부의 가열없이 재료 자체의 보유열에 의한 템퍼링. 자동 템퍼링과 동일한 의미임. 자동 템퍼링, autotempering, 自動テンパ저탄소강은 Ms점이 높기 때문에 퀜칭시 마르텐사이트 변태의 진행과 동시에 템퍼링되는 현 상. 자석 냉각 시험, magnetic quench test, 磁石冷却試驗 자석 흡착에 의한 냉각액의 냉각능 시험. 자연 시효, natural aging, 自然時效 상온 방치 중에 일어나는 시효. 자유도, degree of freedom, 自由度 평형 상태에 있는 합금계에서 온도, 압력 또는 농도와 같이 상변화를 일으킴 없이 변화시킬 수 있는 독립 변수의 수. 자장 가공 열처리, thermo-mechanical-magnetic-treatment (TMMT), 磁場加工熱處理 일반 가공 열처리(TMT)에 자기적 외력을 가하면서 하는 열처리. 자장 열처리, magnetic heat treatment, 磁場熱處理 자석 재료를 자계 내에서 서냉하는 처리(자계 냉각이라고도 함) 자장 템퍼링, thermomagnetic tempering, 磁場燒もどし 자장 내에서 하는 템퍼링 처리. 잔류β조직, retained β structure, 殘留β組織 급랭 Ti합금 중에 남아 있는 β조직. - 64 -

잔류 시멘타이트, retained cementite, 殘留セメンタイト 가탄의 경우, 흑연화가 되지 않고 남아 있는 시멘타이트. 잔류 오스테나이트, retained austenite, 殘留オ-ステナイト 퀜칭한 강 중에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지 않고 남아 있는 오스테나이트.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비안정화, destabilization of retained austenite, 殘留オ-ステナイトの 非安定化 템퍼링 도중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이전에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지 않았던 온도 범위 내에 서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일어나게 하는 현상.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안정화, stabilization of retained austenite, 殘留オ-ステナイトの安定 化 실온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는 도중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는 가능성을 억제하는 현상. 잔류 응력, residual stress, 殘留応力 냉간 가공, 상변태, 주조 및 용접 등의 공정 후에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료 내부에 존재하는 응력. 잔류 탄소량, actual carbon, 殘炭量 탈탄층에 남아있는 탄소량(%). 잔류 탄소율, actual carbon ratio, 殘炭率 잔류 탄소량과 기지 조직의 탄소량의 비. 잔류 탄화물, residual carbide, 殘炭率 오스테나이트화 후에도 고용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탄화물. 잔류 펄라이트, residual pearlite, 殘留パ-ライト 오스테나이트화 후에도 고용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펄라이트. 잠복 시간, incubation time, 伏培時間 상변태에서 핵생성 시작 전까지의 시간. 잠열, latent heat, 潛熱 상변태 중 흡수되거나 방출되는 열에너지. 재결정, recrystallization, 再結晶 냉간 가공된 금속을 어닐링할 때 가공된 조직의 결정립이 새로운 결정립으로 바뀌는 현상. 재결정 어닐링, recrystallization annealing, 再結晶燒なまし 냉간 가공된 금속을 상변화 없이 새로운 결정립 조직으로 바꾸는 어닐링 처리. 재결정 온도,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再結晶溫度 냉간 가공된 금속이 1시간 동안에 재결정을 완료하는 최저 온도. - 65 -

재결정 조직, recrystallized structure, 再結晶組織 재결정으로 얻어지는 조직. 재열 현상, recalescence, 再輝現象 철강이 냉각되어 A1 변태 온도인 임계점(Ar1)을 지날 때 열을 발산하는 현상. 저온 경화, under-hardening, アンダ-ハ-ドニング 공구강이나 고속도강을 침탄시킨 후, 모재의 규정된 퀜칭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퀜칭하는 처리. 저온 어닐링, low temperature annealing, 低溫燒なまし 변태점 이하로 가열하여 내부 변형을 조절하는 어닐링 처리. 저온 취성, cold shortness, 冷ぜい性 실온 부근 또는 그 이하의 온도에서 재료의 충격치가 급격히 저하되어 깨지기 쉬워지는 성 질. 저장 시효, store aging, 貯藏時效 장시간의 시효가 필요한 경우 소정의 온도로 유지된 열처리 장치에 넣어 실시하는 시효 처 리. 저항 브레이징, resistance brazing, 抵抗ロウ付け 피용접물의 접합면을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여 용융 접합시키는 처리. 저항 온도계, resistance thermometer, 抵抗溫度計 금속의 온도에 따른 전기 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휘스톤 브리지로 측정하는 온도계. 적열 경도, red hardness, 赤熱硬さ 열을 받은 공구가 붉은 색깔을 내는 온도에서의 경도. 적열 취성, red shortness, 赤熱脆性 재료의 적열 상태에서의 취성. 적외선 고온계, infrared pyrometer, 赤外線高溫計 적외선에 의한 온도 측정 장치. 적외선 분석기, infrared analyser, 赤外線分析器 적외선 에너지의 흡수에 의하여 탄소 포텐셜을 측정하는 분석 장치. 적주식 침탄, drip feed carburizing, 液添浸炭法 증발하기 쉬운 액체를 노내에 떨어뜨려서 가스 침탄하는 처리. 전력 밀도, power density, 電力密度 열처리에 사용된 전력을 가열 면적으로 나눈 값. - 66 -

전위, dislocation, 轉位 결정 격자의 원자 배열이 엇갈려 일어나는 선결함. 전자빔 표면 강화, electron beam surface hardening, 電子表面强化 전자빔을 강 표면에 조사시켜 표면층을 경화시키는 처리. 전처리, pre-treatment, 前處理 본 작업의 열처리를 하기 전에 시행하는 처리. 전체 경화층 깊이, total case depth, 全硬化深さ 표면 경화 처리에서 모재보다 더 경화되어 있는 경화층의 전체 깊이. 전체 경화, through hardening, 無心燒入れ 퀜칭에 의해 중심부에 50% 이상의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어 내부까지 경화시키는 처리. 전체 노르말라이징, through normalizing, 無心燒ならし 외부와 내부의 조직 차이가 없이 균일한 조직으로 하기 위한 노르말라이징 처리. 전체 탈탄 깊이, total decarburized depth, 全脫炭層深さ 표면에 형성된 탈탄층의 전체 깊이. 전해 시안화 처리, electrolytic cyaniding, 電解靑化 시안화물을 사용하여 처리할 때 강을 (+), 용융 금속을 (-)로 접속해서 행하는 전해 처리. 절삭성, machinability, 可削性 재료의 절삭 용이성을 나타내는 성질. 절연 도료, insulating paste, 絶緣塗料 부품의 표면에 도포하여 강의 표면을 화학 작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용접시 필요없는 부분 에 용접 부스러기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착 도료. 점진 시효, progressive aging, 漸進時效 연속적으로 가열 온도를 높이는 시효 처리. 점진 오스템퍼링, progressive austempering, 漸進オ-ステンパ비교적 낮은 온도의 열욕에 일단 퀜칭하였다가 즉시 소정의 고온욕에 넣어서 오스템퍼링하 는 처리. 점진 퀜칭, progressive quenching, 漸進燒入れ 필요한 경화 부분부터 점차적으로 퀜칭하는 처리. 정방정계, tetragonal system, 正方晶系 3변 중 한변의 길이가 다르며 서로 직교하는 결정계. 정방정 마르텐사이트, tetragonal martensite, 正方晶マステンサイト α마르텐사이트. - 67 -

정적 가열, static heating, 靜的加熱 열원과 상호 동요가 없이 재료의 표면층 또는 일정 범위를 가열하는 처리. 정적 응력, static stress, 靜的負荷 정적 하중에 의해 소재에 발생되는 응력. 정적 퀜칭, static quenching, 靜的燒入れ法 서서히 가열하여 균일한 오스테나이트로 한 후 퀜칭하는 처리. 정지점(停止点), arrest point, 停点 소재의 온도와 시간을 나타낸 가열 및 냉각 곡선에서 흡열 또는 발열 반응에 따라 불연속을 나타내는 점. 정출(晶出), crystallization, 晶出 용융 금속에서 새로운 고체 결정이 생기는 현상. 정편석, normal segregation, 正偏析 용융점이 낮은 성분이 최후에 응고되는 부분에 편석이 일어나는 현상. 정합 석출물, coherent precipitate, 整合析出物 기지 조직의 결정 격자와 연속성을 유지하는 방위를 가지며 고용체로부터 형성하는 석출물. J형(철-콘스탄탄) 열전대, J type (iron-constantan) thermocouple, J型熱電對 Fe․45%Ni-Cu선으로 구성된 열전대로서, 사용 온도 범위는 -185℃~870℃이다. 제트 경화, jet hardening, ジェット燒入れ 냉각제를 제트 분사시키는 경화 처리. 제트 퀜칭, jet quenching, ジェット冷却 물 또는 기름을 제트로 분사하는 경화. 조대 결정립, coarse grain, 粗粒 조직 중에서 특별히 크기가 큰 결정립. 조대화, coarsening, 結晶粒粗大化 결정립 크기가 성장하는 현상. 조미니 거리, Jominy distance, ジヨミニ-距離 조미니 시험편에서 수냉끝으로부터의 거리. 조미니 곡선, Jominy curve, ジヨミニ-曲線 조미니 시험편에 의해 얻어지는 경도 변화 곡선. 조미니 시험, Jominy test, ジヨミニ-試驗 강의 경화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봉상 시편의 한쪽 끝을 수냉한 후 수냉된 끝으로부터 다른 - 68 -

끝으로 경도 변화를 조사하는 시험법. 조절 가열, controlled heating, 調整加熱 미리 결정된 방법에 의한 가열. 조절 냉각, controlled cooling, CC處理 압연한 후 강을 냉각할 때, 소정의 온도 범위를 일정한 냉각 속도로 냉각시키는 처리. 조절 냉각, controlled cooling, 調整冷却 균열이나 내부 결함의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방법으로 고온에서 냉각시 키는 처리. 조정화, conditioning, 條件化 과냉 또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에 고용되어 있는 성분을 조정하기 위하여 다시 가열하는 처 리. 조정화 열처리, conditioning heat treatment, 絛件化 熱處理 후열처리에서 원하는 재료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예비 열처리. 조직, struture, 組織 결정립, 석출물 등의 형상, 크기 등의 분포 상태. 조직 경화, structural hardening, 組織硬化 석출 경화의 별칭. 조직 안정도, structural stability, 組織安定性 열처리 부품의 열에 대한 조직 안정 정도. 조질, refining, 調質 퀜칭, 템퍼링하여 강의 재질을 향상시키는 처리. 조질 압연, temper rolling, 調質壓延 냉간 압연후 어닐링 처리한 저탄소강판의 변형 시효 효과를 감소시켜서 불균일 변형을 억제 하고, 변형 무늬를 방지하여 표면 상태를 좋게 하기 위하여 가볍게 실시하는 냉간 압연. 조질 압연, skin pass rolling, 調質壓延 항복점 연신 발생 방지, 평탄도 개선, 표면 조도 조절 등의 목적으로 가볍게 냉간 압연(1~ 2%)하는 작업. 조질 온도, refining temperature, 調質溫度 결정립을 조절하기 위한 열처리 온도. 주사 가열, scanning heating, 走査加熱 재료 또는 열원을 길이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서 재료를 가열하는 방법. 주사 경화, scanning hardening, 移動燒入れ - 69 -

재료를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퀜칭하여 경화시키는 처리. 주상(柱狀) 조직, columnar structure, 柱狀組織 응고 조직 중의 하나로서 기둥 형태로 생긴 결정이 냉각면에 수직으로 길게 발달한 조직. 주상(柱狀) 페라이트, columnar ferrite, 柱狀フェライト A3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하였을 때 탈탄되어 주상 형태로 생긴 페라이트. 주석욕, tin bath, 錫浴 주석을 용융시킨 열처리욕. 주조 조직, cast structure,鑄造組織 주조한 상태의 조직. 주형 어닐링, annealing in mould, 型內燒なまし法 냉각 속도를 느리고 고르게 하기 위해 대형 주강품을 주형 속에서 조절 냉각하는 어닐링 처 리. 준안정 오스테나이트, metastable austenite, 準安定オ-ステナイト 오스테나이트가 안정화될 수 있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변태되지 않은 상태로 있는 오스 테나이트. 줄시험, file test, ヤスリ檢査 열처리로 경화된 금속을 줄을 사용하여 경도를 알아보는 방법. 중간 고용체, intermediate solid solution, 中間固溶体 상태도에서 일차 고용체들 사이에 있는 중간 영역의 성분 조성을 갖는 고용체. 성분 금속과 는 다른 결정 구조를 가진다. 중간 어닐링, intermediate annealing, 中間燒なまし 부품 제작의 중간 공정에서 하는 저온 어닐링 처리. 중간 어닐링, process annealing, 中間燒なまし 철강 재료를 제품화하는 중간 공정에서 전가공(상온 가공)에 의한 내부 변형을 조정하여 연 화시켜서 다음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처리이다. 중간 조직, transitional structure, 中間組織 오스테나이트에서 펄라이트로 변태하는 중간에 생기는 조직. 마르텐사이트나 베이나이트 등 이 모두 중간 조직이다. 중간 펄라이트, medium pearlite, 中パ-ライト Ar1~Ar' 변태에 의해서 생긴 펄라이트. 중단 퀜칭, interrupted quenching, 中斷燒入れ 1)퀜칭 도중에 꺼내어 공랭하는 처리. 2)퀜칭 도중에 꺼내어 공랭하고 다시 퀜칭하는 처리. - 70 -

중력 편석, gravity segregation, 重力偏析 주조시 성분 금속의 비중차에 의해 주조품의 상하에서 성분 조성의 차이가 나타나는 현상. 중성 분위기, neutral atmosphere, 中性雰圍氣 주어진 조건에서 부품과 반응하지 않는 분위기. 주로 질소 가스 분위기를 말한다. 중심부, core, コア표면 경화하였을 때 경화되지 않은 내부. 즉시 템퍼링, prompt tempering, 燒入直後燒もどし 퀜칭 직후에 실시하는 템퍼링. 증기막 현상, Leydenfrost phenomenon, ライデンフロスト現像 물에 퀜칭시 퀜칭된 부품 주위의 물이 증기가 되어 부품과 물 사이에 증기막이 형성되는 현 상. 이 단계에서의 냉각 속도는 느리게 된다. 증기압, vapor pressure, 蒸氣壓 진공로 내에서 금속 증기 또는 성분 가스의 분압. 증기 어닐링, steam annealing, 蒸氣燒なまし 가열한 철강 부품을 수증기 중에서 어닐링하는 처리. 증기 처리, steam treatment, 蒸氣處理 고합금 공구강에 사용하고 있는 증기 산화 처리이다. 퀜칭, 템퍼링 등의 일반 열처리와 연삭 가공 등이 완료된 강재 부품에 증기 처리를 하여 표면층에 2.5~5.0㎛ 정도의 얇은 Fe3O4 산 화 피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그 방법으로는 우선 증기 처리로에 피처리강을 충진해서 350~370℃까지 가열하여 균일한 온도로 되었을 때 증기를 가한 후, 약 30분 정도 유지하여 노내를 완전히 증기로 치환시킨다. 다음에 증기를 가하면서 승온하여 500~550℃로 되었을 때 증기를 차단하고 균일 온도로 되면 노 밖으로 꺼내어 공랭 또는 유냉을 한다. 이 때 미 립의 Fe3O4 피막을 완전히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500~550℃로 유지되는 시간은 90분 이하 이어야 하고, 550℃ 이상으로는 승온되지 않도록 주의해야만 한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Fe3O4의 얇은 피막은 내식성이 있고, 윤활제 효과도 가지므로 마찰 계수를 현저히 낮추어서 내마모성을 부여하게 된다. 증기 퀜칭, steam quenching, 蒸氣燒入れ 가열한 철강 부품을 수증기로 냉각하는 처리. 증기 템퍼링, steam tempering, 蒸氣燒もどし 증기 중에서 템퍼링하는 처리. 증기 호모 처리, steam homo treatment, 蒸氣ホモ處理 증기를 쏘여 금속 표면에 산화 피막을 생성시키는 처리. 증기 처리를 참조. 증탄(增炭) 가스, enrich gas, 增炭 침탄용 가스의 탄소 포텐샬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소량 첨가하는 천연 가스 또는 프로판 가 - 71 -

스. 지연 균열, delayed crack, 置き割れ 내부 응력이나 조직 변화로 인하여 상온 방치중 소재에 생기는 균열. 지연 변태, delayed transformation, 遲延変態 변태할 때는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급랭시 어느 정도 늦게 일어나는 변태. 지연 시간, delay time, おくれ時間 정위치 고주파 표면 경화 처리에서 전력을 끈 시간과 퀜칭액이 부품의 가열 부분에 닿는 시 간과의 간격에 해당하는 시간. 지연 퀜칭, slack quenching, 不完全燒入れ 강의 임계 냉각 속도보다 느리게 냉각한 결과 마르텐사이트 이외의 여러 상들이 존재하게 되어 불완전 경화시킨 처리. 지연 퀜칭, delayed quenching, 遲らせ燒入れ 퀜칭 온도에서 잠시 공랭한 후 다시 퀜칭하는 처리. G.P. 구역, Guinier-Preston zone(G.P. zone), ギニア․プレストン帶 과포화 고용체의 분해시 최초에 기지의 특정면에 2차원적으로 석출하는 용질 원자의 집단. 직접 퀜칭, direct quenching, 直接燒入れ 침탄 부품을 침탄 온도에서 직접 퀜칭하는 처리. 직접 퀜칭 시효, direct quench aging, 直接燒入れ時效 석출 경화형 Al합금을 용체화 온도에서 시효 온도의 열욕에 퀜칭하여 시효 경화시키는 처 리. 진공 경화, vacuum hardening, 眞空燒入れ 진공로 내에서 가스 냉매를 이용하여 퀜칭하는 경화 처리. 진공로, vacuum furnace, 眞空爐 진공 장치에 의해서 가열실 내의 압력을 10-3 torr 이하로 유지하여 광휘 열처리할 수 있는 전기로. 진공 어닐링, vacuum annealing, 眞空燒鈍 진공 중에서 하는 어닐링 처리. 진공 열처리, vacuum heat treatment, 眞空熱處理 진공 중에서 가열 및 냉각시키는 열처리 진공 용해, vacuum melting, 眞空溶解 산화성 가스에 의한 용탕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우 낮은 압력의 분위기에서 행하는 용 해. - 72 -

진공 침질 탄화, vacuum nitrocarburizing, 眞空軟窒化 진공로 내에서 실시하는 침질 탄화 처리. 진공 침탄, vacuum carburizing, 眞空浸炭 진공로에서 실시하는 침탄 처리. 진동 가공 열처리, vibration TMT, 振動加工熱處理 진동 하중을 주면서 하는 가공 열처리. 진동상로, shaker hearth furnace, 振動床爐 노상(爐床)이 진동하여 부품을 전진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오스테나이트화 한 후 퀜칭할 수 있는 열처리로. 진동 템퍼링, vibration tempering, 超音波燒もどし 초음파로 진동을 주면서 행하는 템퍼링 처리. 질량 효과, mass effect, 質量 效果 강재의 크기에 따라 열처리 효과가 달라지는 것을 말함. 질량 효과가 크다는 것은 강재의 크기에 따라 열처리 효과가 달라지는 정도가 커져서 큰 제품일수록 경화되는 깊이가 작아지 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질량 효과가 작다는 것은 작은 제품에서는 물론 큰 제품에서도 중심부까지 경화가 잘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탄소강은 질량 효과가 크고, 자경성 이 강한 Ni-Cr-Mo강, STD 11강 등은 질량 효과가 작다. 질산 퀜칭, nitric acid quenching, 窒酸燒入 Al합금의 현미경 조직을 관찰하기 위해서 70℃로 유지된 20% 질산액 속에 시험편을 담근 후, 즉시 냉각수에 퀜칭하는 처리. 질화, nitriding, 窒化 Ac1점 이하의 적절한 온도에서 강의 표면에 질소를 침투시키는 표면 경화 처리. 질화강, nitriding steel, 窒化鋼 Al, Cr 등 질소 화합물을 만들기 쉬운 원소를 함유한 질화용강. 질화물 형성 원소, nitride forming element, 窒化物形成元素 강 중에서 철보다 질소에 대한 화학적 친화력이 더 큰 원소. 집합체, aggregate, アグレゲト 여러 상이 섞여 있는 조직.

차 차별 가열, differential heating, 差別加熱 부품 내에 온도 구배가 형성되도록 계획적으로 실시하는 가열. - 73 -

차별 경화, differential hardening, 差別燒入法 부품의 각 부분을 각각 다른 온도로 가열한 후 퀜칭하는 처리. 처짐, sagging, 白重曲り 가열 중에 자체 무게 때문에 소재나 부품이 휘어지거나 늘어지는 현상. 천이 격자, transition lattice, 遷移格子 석출에 의해 생성된 상이 안정된 상으로 되기 전의 한 중간적 불안정한 결정 구조. 천이 온도, transition temperature, 遷移溫度 재료의 충격치가 급변하는 온도. 천이 온도 구역, transition temperature range, 遷移溫度區域 재료의 어떤 성질이 급변하는 온도 범위. 천이점, transition point, 遷移點 어떤 물질에서 액체, 고체 및 기체로 변태되는 천이 온도. 철-콘스탄탄, iron-constantan, 鐵-コンスタンタン 열전대에 사용되는 철과 콘스탄탄으로 구성된 두가닥의 선으로서, 상온에서부터 600~700℃ 까지 사용함. 철탄화물, iron-carbide, 炭化鐵 Fe3C를 의미함. 청열 가공, blue working, 靑溫加工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하는 소성 가공. 청열 가열, blue heating, 靑溫加熱 퀜칭한 강의 탄성 한계를 높이기 위하여 500℃ 이하의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는 처리. 청열 어닐링, blue annealing, 靑熱燒なまし 열간 압연 강판을 성형할 때 연화시키는 방법으로, 변태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한 후 공랭하 는 처리. 강재의 표면이 청색을 띄게 된다. 청열 취성, blue brittleness, 靑熱ぜい性 철강의 표면 색깔이 청색을 띄게 되는 온도(250℃부근)에서 경도와 강도는 증가되지만 연성 이 감소되는 현상. 청정도, cleanliness, 淸淨度 재료 중에 비금속 개재물의 혼입 정도. 체심 정방 격자, body centered tetragonal lattice, 体心正方格子 원자가 정방체의 모서리와 중심에 존재하는 공간 격자. - 74 -

초경 침투, atomlloy treatment, 超硬浸透 강의 표면에 WC와 같은 초경 탄화물을 소결 부착시켜서 강 속에 침투시키는 처리. 초경화, super hardening, 超燒入れ 임계 구역만을 빨리 냉각시키고 위험 구역은 서냉하는 경화 처리. 초석, pro-eutectoid, 初析晶 균일한 고용체에서 공석 반응 이전에 석출한 결정을 나타내는 말. 공석 반응으로 석출한 결 정은 공석정이라 한다. 초석 시멘타이트, pro-eutectoid cementite, 初析セメンタイト 과공석강에서 오스테나이트 상태로부터 냉각시 Arcm~Ar1 변태 온도 구간에서 형성되는 시 멘타이트. 즉, 오스테나이트에서 공석 반응 이전에 최초로 석출한 시멘타이트. 초석 페라이트, pro-eutectoid ferrite, 初析フェライト 아공석강에서 오스테나이트 상태로부터 냉각시 Ar3~Ar1 변태 온도 구간에서 형성되는 페 라이트. 초음파 산세, supersonic pickling, 超音波酸洗い 초음파 진동을 주면서 행하는 산세법. 초음파 세척, ultrasonic cleaning, 超音波洗淨 초음파 진동자를 장치한 세척 탱크에서 세척액을 진동하여 부품을 세척하는 방법. 초음파 시효, supersonic aging, 超音波時效 초음파 진동을 주면서 하는 시효. 초음파 액체 침탄, supersonic liquid carburizing, 超音波液浸 액체 침탄제의 용융염에 초음파를 통하여 하는 침탄 처리. 초음파 열처리, supersonic heat treatment, 超音波熱處理 초음파를 이용한 열처리. 초음파 질화, supersonic nitriding, 超音波窒化 초음파를 사용하여 용융염에 암모니아 가스를 통하면서 하는 질화 처리. 초음파 침탄, supersonic carburizing, 超音波浸炭 초음파 진동을 주면서 하는 침탄 처리. 초음파 탐상법, supersonic flaw detecting, 超音波探傷法 초음파를 재료 속에 투사하여 되돌아온 음파로 재료의 결함을 조사하는 방법. 초음파 템퍼링, supersonic tempering, 超音波燒もどし 초음파 진동을 주면서 하는 템퍼링 처리. 초음파 퀜칭, supersonic quenching, 超音波燒入れ - 75 -

초음파 진동을 주면서 행하는 퀜칭 처리. 초정, primary crystal, 初晶 용융 금속에서 처음 정출한 고체 결정. 초정, pro-eutectic, 初晶 용융 금속에서 공정 반응이 일어나기 전에 처음으로 정출되는 결정. 초정 시멘타이트, pro-eutectic cementite, 初晶セメンタイト 용융 금속에서 공정 반응이 일어나기 전에 정출된 시멘타이트. 초정 오스테나이트, pro-eutectic austenite, 初晶オ-ステナイト 용융 금속에서 공정 반응이 일어나기 전에 정출되는 오스테나이트. 초조직, super structure, 超組織 Ni가 많은 강을 열처리할 때 Ni3Fe가 나타나는 조직. 초퀜칭, super quenching, 超燒入れ 임계 구간만을 빠르게 위험 구역을 서서히 냉각하는 퀜칭 처리. 총 지시기 변화, total indicator variation, 總指示器変化 싸이글의 검사 중 지시기의 값이 최고치와 최소치 사이의 차이. 총탄소, total carbon, 總合炭素 강에 포함된 모든 탄소량, 흑연 탄소(GC)와 화합 탄소(CC)의 합. 최종 어닐링, finish annealing, 最終燒なまし 냉간 가공된 저탄소강 또는 중탄소강에 적용되는 임계 온도 이하에서 실시하는 어닐링이며, 잔류 응력을 낮추고 변형을 최소화시킨다. 충격 강도, impact strength, 衝擊强さ 충격 시험에 의해 얻어지는 강도값. 충격 시험, impact test, 衝擊試驗 시험편에 충격을 주어 파단시키고 재료에 흡수된 에너지의 크기로서 내충격성을 측정하는 시험. 샤르피 충격 시험과 아이조드 충격 시험이 있다. 충격치, impact value, 衝擊値 충격 시험에서 얻어지는 재료의 흡수 에너지 크기. 아이조드 충격치는 시험편을 절단하는데 에 요하는 에너지(kg-m)를 말하고, 샤르피 충격치는 시험편을 절단하는데 흡수된 에너지 (kg-m)를 시험편의 노치부 단면적(cm2)으로 나눈 값(kg-m/cm2). 취성, embrittlement, 脆性 연성 또는 인성이 극히 적은 재료의 성질. 취성 파괴, brittle fracture, 脆性破壞 - 76 -

소성 변형이 거의 수반되지 않는 파괴이며, 연성 파괴보다 에너지 소모가 적게, 균열의 전파 가 빨리 일어난다. 층상 박리, lamination, ラミネション 표면이 층상으로 벗겨지는 현상. 층상 조직, lamellar structure, 層狀組織 층 모양으로 나타나는 조직. 층상 펄라이트, lamellar pearlite, 層狀パ-ライト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조개껍질 모양으로 층을 이루는 통상의 펄라이트 조직. 치구 퀜칭, zig quenching, 治具燒入れ 치구를 사용하여 퀜칭시키는 처리. 치수 안정성, dimensional stability, 寸法安定性 열처리한 부품에서 일어나는 치수 변화의 안정도. 치환형 고용체, substitutional solid solution, 置換型固溶體 용매 원자의 일부가 용질 원자에 의해 치환된 고용체. 칠, chill, 冷硬 주물 표면을 급랭시키기 위하여 붙이는 장치 또는 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백선화된 조직. 칠효과, chilled effect, 冷硬效果 {칠 깊이/반지름}×100 (%). 칠주물에서 현미경 검사로 측정한 칠의 깊이와 소재의 반지름 과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 침린, phosphatizing, 浸燐 인을 강재 표면이 침투시키는 처리. 침붕, boronizing, boriding, ボロナイジング 붕소(B)를 금속 표면에 확산 침투시키는 방법으로, Hv 1000 이상의 경도가 얻어진다. 그 방 법으로는 (붕소 분말+촉진제) 중에서 가열하는 분말법, (염화 붕소+H2)를 사용하는 기체법, 붕사를 주체로 한 염욕 중에서 가열하는 액체법 등이 있다. 이 때 표면에 생성되는 FeB나 Fe2B는 매우 경하고 취약하므로, 이것들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침붕 처리 후 확산 처리를 행 할 필요가 있다. 인발 또는 디프 드로잉용 금형에 적합하다. 침붕 규소법, borosiliconizing, 浸硼素法 강의 표면에 붕소(B)와 규소(Si)를 동시에 침투시키는 처리. 침상(針狀) 마르텐사이트, acicular martensite, 針狀マルテンサイト 고탄소강에서 침상으로 나타나는 마르텐사이트. 침상(針狀) 조직, acicular structure, 針狀組織 침상으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조직. - 77 -

침상 페라이트, acicular ferrite, 針狀フェライト 연속 냉각하는 도중 상부 베이나이트 변태 온도 범위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 확산과 전단 의 혼합 변태 기구에 의하여 형성하는 미세한 침상 형태의 페라이트. 침석, stannizing, 浸錫 주석을 강재 표면에 침투시키는 처리. 침입형 고용체, interstitial solid solution, 侵入型固溶體 용질 원자가 용매 원자 격자 사이에 침입되어 있는 고용체. 침질 탄화, nitrocarburizing, 軟窒化 강을 Ac1 이하로 가열하여 표면층에 다량의 질소와 소량의 탄소를 동시에 침투시켜 표면 경화시키는 처리. 침탄, carburizing, 浸炭 강을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탄소를 침투시켜서 표면 경화하는 처리. 침탄 경화층 깊이, carburized case depth, 浸炭硬化層深さ 침탄되어 경화된 표면층의 깊이. 침탄 깊이, carburized depth, 浸炭深度 침탄되어 모재(母材)보다 탄소량이 높게 된 부분의 두께. 침탄 방지제, anti-carburizer, 浸炭防止劑 침탄을 원하지 않는 부분에 사용하는 도포제. 침탄제, carburizer, 浸炭劑 침탄할 때 탄소를 공급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질. 침탄 조직, carburized structure, 浸炭組織 침탄하여 생긴 조직 침탄 질화, carbonitriding, 浸炭窒化 강을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다량의 탄소와 소량의 질소를 침투시켜서 표면 경화하는 처 리. 침탄 촉진제, energizer, 浸炭促進劑 고체 침탄할 때 침탄 능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 침탄 화염, carburizing flame, 浸炭火炎 가스 용접에서처럼 가열된 금속에 탄소를 침투시키는 가스 화염. 침황, sulfurizing, サルファライジング 퀜칭·템퍼링한 강재의 표면에 유황(S)을 확산시키는 방법으로서, 표면 조도를 작게 함으로 마찰 계수를 낮추어서 내마모성이 개선된다. 이 방법은 질화성의 염욕에 유황 화합물을 첨 - 78 -

가한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질소도 함께 확산해 들어간다. 서설프(Sursulf)라고도 함.



칼로라이징, calorizing, カロライジンク 철, 동, 황동의 표면에 알루미늄을 침투시키는 처리. 카봄, carbohm, カ-ブオ-ム 철선의 전기 저항의 변화에 의해 탄소 포텐샬을 측정하는 장치. 칸탈, Kanthal, カンタル Fe-Cr-Al계 전기저항 발열체를 총칭하는 상품명으로, 니크롬선보다 높은 온도까지 견딘다. 선의 굵기에 따라 최고 사용 온도는 925~1200℃까지임. 칼날 전위, edge dislocation, 刀狀轉位 결정 중 슬립면과 슬립면 아래의 면 사이에 존재하는 쐐기 모양의 선결함. 케이스, case, ケ-ス 표면층을 참조. K형(크로멜-알루멜) 열전대, K type(chromel-alumel) thermocouple, K型 熱電對 10%CrㆍNi-AlㆍMnㆍSiㆍNi선으로 구성된 열전대로서, 사용 온도 범위는 -20℃~1000℃이 고, CA열전대라고도 한다. 켈빈 온도, Kelvin degree, ケルビン度 절대 온도 0℃(-273℃)를 기준으로 한 온도. 코시간, nose time, 鼻時間 등온 변태 곡선에서 S곡선의 앞 부분의 온도에서 등온 변태 개시 까지의 시간, 코온도, nose temperature, 鼻溫度 등온 변태 곡선에서 S곡선의 앞 부분에 해당하는 온도. 퀜칭, quenching, 急冷 높은 온도에서 급랭하는 처리. 퀜칭 경화, quench hardening, 急冷硬化 오스테나이트처리 후 퀜칭하여, 오스테나이트를 마르텐사이트로 변태시키는 경화 처리. 퀜칭 경화 깊이, quench hardened case, 硬化層の深さ 퀜칭하였을 때 마르텐사이트 변태 때문에 생긴 경화 깊이. 퀜칭 균열, quenching crack, 燒入割 고온에서 급랭하는 동안 생기는 균열. - 79 -

퀜칭 변태도, quenching diagram, 燒入変態圖 ⑴오스테나이트에서 여러 속도로 냉각했을 경우의 변태 조직도 또는 ⑵퀜칭할 때, 변태의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도표. 퀜칭 변형, quenching strain, 燒歪 퀜칭하였을 때 생기는 변형. 퀜칭 세기, quenching intensity, 冷却能力 퀜칭 매체의 냉각 정도를 나타내는 세기. 퀜칭 시험기, quenchometer, クェンチョメ-タ 자석 흡착에 의한 냉각액의 냉각능을 측정하는 시험기. 퀜칭 시효, quench aging, 燒入時效 퀜칭 후 상온 방치시에 생기는 시효. 퀜칭 시효, quench aging, 急冷時效 고용체화 온도에서 급랭함에 의하여 유기되는 시효. 일반적으로 퀜칭 시효에 의해 경화가 일어난다. 퀜칭 시효 취화, quench-aging embrittlement, 急冷時效翠化 저탄소강을 A1 온도 이하에서 급랭하였을 때, 상온 시효되어 연성이 감소하여 취화되는 현 상. 퀜칭 어닐링, quench annealing, 急冷燒なまし 18-8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오스테나이트계 합금강을 고용체화 상태에서 급랭하여 연화시키 는 처리. 퀜칭 연화, quench softening, 急冷軟化 오스테나이트계 합금강을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로부터 퀜칭하여 연화시키는 처리. 퀜칭 어닐 링이나 수인 처리와 같은 의미이다. 퀜칭욕, quenching bath, 燒入れ溶 퀜칭에 사용하는 용액. 퀜칭 응력, quenching stress, 燒入れ応力 퀜칭하였을 때 생기는 잔류 응력. 퀜칭제, quenchant, quenching agent, quenching media, 急冷劑, 冷却劑, 燒入液 퀜칭에 사용되는 냉각 매체(고체, 액체, 기체). 퀜칭 지연 시간, quench delay, 急冷遲らせ時間 가열로에서 꺼낸 후, 급랭시킬 때까지의 허용 시간. 퀜칭 템퍼링, quench tempering, 急冷燒もとし 템퍼링 온도와 동일한 염욕에 퀜칭한 후, 염욕의 온도와 같아진 뒤에 꺼내어 공랭하는 처리. - 80 -

퀜칭 트루스타이트, quenched troostite, 燒入れトル-スタイト 퀜칭 후 템퍼링하였을 때 생기는 페라이트와 미세한 시멘타이트의 혼합 조직(현재 이 용어 는 잘 쓰이지 않음). 큐리점, Curie point, キュリ-點 강자성체가 상자성체로 변하는 온도. 크로마이징, chromizing, クロマイジング 강의 표면에 크롬을 침투시키는 처리. 크리프 포밍, creep forming, クリ-プ∙フォ-ミング 치구를 이용하여 부품에 응력을 가하면서 가열, 성형하는 처리. 키쉬 흑연, kish graphite, キツシユ黑鉛 융체로부터 액상선에 따라 정출된 흑연(1차 흑연). 탄성 한계, elastic limit, 彈性限界 영구 변형 없이 지탱할 수 있는 최대 응력.



탄소 기울기, carbon gradient, 炭素句配 침탄층의 탄소량 변화를 침탄 깊이에 대해서 나타낸 값. 탄소 당량, carbon equivalent, 炭素當量 각 원소의 영향력을 탄소의 영향력으로 비교한 값. 탄소 포텐샬, carbon potential, カ-ボン․ポテンシャル 가스 침탄 작업시 침탄용 가스의 침탄 능력. 탄소 포화도, carbon saturation, 炭素飽和度 주철의 공정(共晶)에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 탄소 회복, carbon restoration, 復炭 전처리 과정에서 표면층의 탄소량이 감소된 것을 침탄에 의해서 본래 탄소량으로 회복시키 는 것이며, 재침탄(recarburizing)이라고도 함. 탄화물, carbide, 炭化物 금속과 탄소(C)의 화합물. 탄화물 어닐링, carbide annealing, 炭化物燒なまし 어닐링한 고속도강을 변태점 직하에서 가열하고 냉각하는 처리. 탄화물 형성 원소, carbide forming element, 炭化物形成元素 Cr, W, Mo, V, Ti 및 Nb 등과 같이 강 중에서 탄화물을 형성하는 원소. - 81 -

탈가스, degassing, 脫ガス 용액 또는 고체 재료 내의 가스를 제거하는 처리. 탈산, deoxidizing, 脫酸 용융 금속 중의 산소를 제거하는 처리. 탈수소, dehydrizing, 脫水素 용융 금속 중의 수소를 제거하는 처리. 탈스케일, descaling, 脫スケ-ル 강 표면에 생긴 스케일을 제거하는 처리. 탈아연, dezincification, 脫亞鉛 아연이 들어있는 합금에서 아연(Zn)이 없어지는 현상. 탈질, denitriding, 脫窒 질화된 강 표면에서 질소량이 감소하는 현상. 탈탄, decarburizing, 脫炭 강 표면의 탄소가 공기 중의 산소와 화합하여 강표면의 탄소량이 감소하는 현상. 탈탄 깊이, decarburized depth, 脫炭深度 탈탄층의 깊이. 탈탄층 깊이에는 전(全) 탈탄층 깊이, 페라이트 탈탄층 깊이, 특정 잔탄율 탈 탄층 깊이, 실용 탈탄층 깊이 등이 있다. 탈탄 조직, decarburized structure, 脫炭組織 강 표면부의 탄소량이 작아진 조직. 강을 공기 중에서 가열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탈탄 에 앞서 공기가 우선 강 표면을 산화시키고 표면에 가까운 부분의 탄소가 CO가스로 되어 탈출하여 탈탄 조직이 생긴다. 탈탄층, decarburized layer, 脫炭層 탈탄된 표면층. 터프트라이드법, Tufftride process, タフトライド法 염욕에서 질소와 탄소를 강재 표면에 침투시켜 내마멸성을 증가시키는 처리. 즉 염욕 침질 탄화법. 테니퍼법, Tenifer process, 軟窒化 용융 염욕에서 실시하는 침질 탄화 처리. 템퍼, temper, テンパ 여러 가지 의미가 있다. 경도, C%, 상온 가공도 등을 각각 표현하는 말. 즉, 1)금속의 경화나 인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말. mild temper나 hard temper등 2)제강에서는 강재의 탄소량을 나타내는 말. 3)비철 재료에서는 냉간 가공의 정도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된다. - 82 -

템퍼링, tempering, 燒もどし 퀜칭에 의해 경화된 강이나 주철을 재가열하여 인성을 향상시키고, 잔류 응력을 제거하며, 조직을 안정화할 목적으로행하는 열처리. 템퍼링 경도, tempered hardness, 燒もどし硬さ 템퍼링한 강재의 경도. 템퍼링 경화, temper hardening, 燒もどし硬化 템퍼링에 의해 강재가 경화되는 처리. 특수 탄화물의 2차 경화 참조. 템퍼링 곡선, temper curve, 燒もどし変態曲線 템퍼링에 의한 기계적 성질의 변화 곡선. 템퍼링 균열, temper crack, 燒もどし龜裂 템퍼링할 때 생기는 균열 템퍼링 기본 곡선, master tempering curve, 燒もどし基本曲線 템퍼링 정도를 템퍼링 온도와 시간의 변수로 표시한 곡선. 템퍼링 마르텐사이트, tempered martensite, 燒もどしマルテンサイト 템퍼링된 마르텐사이트. 템퍼링 변태, tempering transformation, 燒もどし変態 템퍼링할 때 나타나는 상변화. 템퍼링색, temper color, 燒もどし色 1)템퍼링할 때 강의 표면에 나타나는 산화막의 색. 2)금속 광택을 갖는 강의 표면을 상온에서부터 서서히 가열할 때 진행 온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색. 템퍼링 소르바이트, tempered sorbite, 燒もどしソルバイト 마르텐사이트를 약 600℃에서 템퍼링할 때 생기는 조직(현재는 잘 안쓰이는 용어임). 템퍼링 조직, tempered structure, 燒もどし組織 템퍼링하였을 때 생긴 조직. 템퍼링 트루스타이트, tempered troostite, 燒もどしトル-スタイト 마르텐사이트를 약 400℃에서 템퍼링할 때 생기는 조직(현재는 잘 안쓰이는 용어임). 템퍼링 취성, temper brittleness, 燒もどし脆性 퀜칭한 강을 어떤 온도에서 템퍼링을 했을 때 그 이하의 온도에서 템퍼링했을 때보다 오히 려 취약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템퍼링 취성은 300℃ 전후의 온도로 템퍼링한 경우에 나 타나는 것과, 보다 고온의 500℃ 혹은 그 이상의 온도로 템퍼링했을 때 나타나는 것의 2종 류가 있는데, 전자는 저온 템퍼링 취성, 후자는 고온 템퍼링 취성이라 부르고 있다. 고온 템 - 83 -

퍼링 취성은 Ni-Cr강을 375~575℃의 온도 범위에서 템퍼링하거나, 이 온도 범위를 서냉한 시험편을 노치 충격 시험할 때에 노치 인성의 감소, 즉 연성-취성 천이 온도가 증가되는 현 상을 말한다. 보통 간단히 템퍼링 취성이라 하면 이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템퍼 탄소, temper carbon, テンパ-カ-ボソ, 燒もどし炭素 가단 주철의 어닐링할 때 생긴 흑연. 토치 경화, torch hardening, ト-チ燒入れ 불꽃으로 가열 후 퀜칭하는 처리. 토코법, Tocco process, トッコ法 고주파 퀜칭 방법의 일종(The Ohio Crankshaft Co.의 상표명). 트루스타이트, troostite, トル-スタイト α철과 아주 극미세한 시멘타이트 입자의 혼합 조직(마르텐사이트의 400℃ 템퍼링 조직, 현 재는 미세 펄라이트라고 함). 특수 탄화물의 2차 경화, secondary hardening of special carbide, 特殊炭化物の2次燒入れ 고속도강과 같은 강재에서 고온 템퍼링시에도 복합 탄화물에 의해 경화되는 현상. 즉 Cr, Mo, W, Nb 및 V 등과 같은 탄화물 형성 원소를 함유하는 합금 공구강이나 고속도강에서 는 500℃ 부근의 템퍼링시에도 경도의 저하가 적고, 이들 원소의 첨가량이 많은 경우에는 500~600℃에서 경도가 오히려 증가해서 극대점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2차 경 화(二次硬化, secondary hardening) 또는 템퍼링 경화(temper hardening)라 하며, V나 Nb의 경우는 불과 0.1% 이하의 첨가에서도 이 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특정 잔탄율 탈탄층 깊이, specified actual carbon ratio decarburization, specified percentage decarburization, 特定殘炭率脫炭層深さ 표면에서 어떤 일정한 탈탄율을 가진 부분까지의 깊이. TD 처리, TD process, T-Dプロセス 일본 도요다 중앙 연구소에서 개발한 표면 경화법의 일종으로서, 용융 염욕 중에 침지 유지 시켜서 철강, 비철 금속, 초경 합금 및 탄소 등의 표면에 탄화물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형성되는 탄화물층은 VC, NbC, Cr7C3 등의 각종 탄화물로서, 이들 탄화물층은 매우 치밀하고 또한 모재와의 밀착성이 크기 때문에 극히 우수한 내마모성, 내소착성, 내산 화성, 내식성 및 내열충격성 등 제성질이 우수하므로 여러 가지 금형으로 응용되어 큰 효과 를 얻고 있다. 이들 탄화물 중에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VC이다. TD 처리에 사용되는 염욕의 주성분은 붕사(硼砂, borax)이고, 여기에 탄화물 형성 원소가 첨가되어 있 다. 처리재로서 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 강의 퀜칭 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선 택하든가, 또는 약간 높은 온도가 사용된다. 고속도강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퀜칭 온도인 1150~1230℃에서 처리하거나, 좀더 낮은 950~1050℃에서 처리하기도 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는 처리후 재가열하여 퀜칭 처리를 추가해야만 한다. 티탄 질화, tita-nitriding, チタナイジング Ti을 이용한 강재의 질화 처리. TTT곡선, time-temperature-transformation curve, TTT曲線 - 84 -

과냉 오스테나이트의 등온 변태 곡선으로서, 시간-온도-변태 곡선(등온 변태 곡선 또는 S곡 선이라고도 함). T형 열전대, T type(copper-constantan) thermocouple, T型熱電對 Cu․45%Ni-Cu선으로 구성된 열전대로서, 사용 온도 범위는 -185℃~370℃이므로 서브제로 처리용으로 적합하다. CC 열전대라고도 함.



파면 검사, fracture test, 破面檢査 파면을 보고 재질을 판정하는 법. 파면 조직 시험, fractography, 破面組織試驗 금속의 파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 파이프 퀜칭, pipe quenching, 茼燒入れ 분수 파이프 속에 넣어 퀜칭시키는 처리. 파커라이징, parkerizing, パ-カライジング 인산염 피막에 의한 철강의 방청법.

패턴팅, patenting, パテンチング 주로 강선 제조시 사용되는 퀜칭 처리법으로, 연욕 등을 사용하여 미세한 펄라이트 조직으 로 변화시키는 열처리. 팽창계, dilatometer, デイラトメ-タ 온도의 변화나 조직의 변화에 의해 금속의 팽창이나 수축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계기. 퍼징, purging, パ-ジ 열처리로 내에 잔류하는 불필요한 가스를 제거하는 처리. 펄라이트, pearlite, パ-ライト 철강 조직에서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층상 공석 조직. 펄라이트 구역, pearlite range, パ-ライト區域 냉각시 펄라이트 조직이 생성되는 Ar1~Ar′온도 범위(임계 구역). 펄라이트 시멘타이트, pearlitic cementite, パ-ライト․セメンタイト 펄라이트 속의 층상 시멘타이트. 펄라이트 임계 냉각 속도, pearlite critical cooling, パ-ライト臨界 冷却 速度 펄라이트를 생기지 않게 하는 최소의 냉각 속도(상부 임계 냉각 속도). 펄라이트 페라이트, pearlitic ferrite, パ-ライト∙フェライト 펄라이트 속의 페라이트. - 85 -

펄스 가열, pulse heating, パルス加熱 특정 단위의 에너지의 반복에 의한 가열 펄스 어닐링, pulse annealing, パルス燒なまし 급열, 급랭의 열사이클을 주어서 필요한 성질이 나올 때까지 반복하는 어닐링. 편상 흑연, flaky graphite, 片狀黑鉛 조각 모양으로 나타나는 흑연. 편석, segregation, 偏析 조직 중에 한 성분이 편재하는 현상. 편석 구역, segregation zone, 偏析帶 편석이 일어난 구역. 편정 반응, monotectic reaction, 偏晶反應 냉각 또는 가열에 의해 합금이 융액( L 1 ) ↔ 고상(A) + 융액( L 2 )의 반응이 일어나는 현상. 평형 상태도, equilibrium diagram, 平衡狀態圖 평형 상태에서 온도와 합금 조성의 변화에 따른 상변화를 나타낸 도표. 페라이트, ferrite, フェライト 체심 입방 격자의 α철. 페라이트 침질 탄화, ferritic nitrocarburizing, フェライトの浸窒炭化 페라이트 상영역에서 실시하는 침질 탄화 처리. 페라이트 형성 원소, ferrite forming element, フェライト形成元素 페라이트 형성을 촉진시키는 원소 포석 반응, peritectoid reaction, 包析反應 냉각 또는 가열에 의해 합금이 고상(A)+고상(B)↔고상(C)로 변태되는 현상. 포일 열처리, foil heat treatment, ホイル熱處理 부품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철이나 스테인리스강의 박막으로 싸서 하는 열처리. 포정 구상화, peritectic spheroidizing, 包晶球狀化 포정 온도 직하로 가열하여 탄화물을 구상화시키는 처리. 포정 반응, peritectic reaction, 包晶反應 냉각 또는 가열에 의해 합금이 융액(L) + 고상(A) ↔ 고상(B)로 변태되는 현상. 포정 입상화, peritectic granulation, 包晶微細化 포정 반응에 의해서 초정을 미세화하는 처리. - 86 -

폴리머 용액, polymer solution, ポリマ溶液 냉각제로 사용되는 유기 폴리머의 수용액. 표면 가열, surface heating, 表面層加熱 표면만을 가열하는 처리. 표면 개질, surface modification, 表面改質 물리적, 화학적 및 열역학적 처리를 통하여 소재의 표면 성질을 개선하는 처리. 표면 경화, case hardening, 肌燒き 강의 표면부를 경화하기 위하여 침탄후 적당한 열처리를 실시하는 조작을 말함. 이 열처리 는 보통 1차 퀜칭과 2차 퀜칭으로 이루어지는데, 1차 퀜칭은 침탄 가열시 조대화된 중심부 조직을 미세화하기 위하여 850~900℃ 정도의 온도에서 수냉 또는 유냉을 행한다. 2차 퀜칭 은 750~800℃로 재가열한 후, 수냉 또는 유냉을 행하여 침탄부(표면부)를 경화하는 것이다. 표면 경화, surface hardening, 表面燒入れ, 表面硬化 철강의 표면만을 경화시키기 위하여 행하는 퀜칭 처리. 주로 화염 경화법 또는 고주파 경화 법이 이용된다. 표면 반응, surface reaction, 表面反應 탈탄, 침탄, 산화 등과 같이 표면에서 일어나는 반응. 표면 복탄, skin recovery, 復炭 탈탄된 부분의 탄소 농도를 원래의 탄소 농도로 복귀시키는 처리. 표면 산화, surface oxidation, 表面酸化 표면에서 일어나는 산화 표면 탄소량, case carbon, 表面炭素量 경화층의 탄소량(%). 표면 처리법, surface treatment process, 表面處理法 물리적, 화학적 및 열역학적 처리를 통하여 소재의 표면 성질을 개선하는 방법. 표면 열처리, surface heat treatment, 表面燒入れ 고주파 열처리, 전자빔 열처리 등과 같이 표면층 만을 가열하는 열처리. 표면층, case, 表面層 표면 경화된 철강재의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조성의 변화가 형성되었을 때 표면에서 내부의 원래 조성까지의 부분. 표준 조직, normal structure, standard structure, 標準組織 표준 상태의 조직. 푸셔로, pusher furnace, プッシャ爐 부품을 트레이(tray)에 담고 트레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밀어 장입하면서 열처리하는 연속로. - 87 -

풀림, annealing, 燒なまし 어닐링 참조. 풍랭, wind cooling, 風冷 바람에 의한 냉각. 프레스 퀜칭, press quenching, プレス燒入 프레스하면서 행하는 퀜칭. 프레스 템퍼링, press tempering, プレス․テンパ 프레스하면서 행하는 템퍼링. 프로법, Floe process, プロ-法 2단 질화법. 플라스틱 퀜칭, plastic quench, プラスチック․クェンチ 플리 비닐 알콜 수용액에 의한 퀜칭. 플라즈마, plasma, プラズマ 자유롭게 운동하는 +, -의 전기를 띤 입자가 공존하여 전기적으로 중성인 물질의 상태로서, 전자, 이온, 원자 및 분자의 혼합체. 플라즈마 열처리, plasma heat treatment, プラズマ熱處理 감압 분위기 속에서 음극으로 한 처리물과 양극으로 한 노벽 사이에서 일어나는 글로우 방 전을 이용한 표면 경화 처리. 플라즈마 질화, plasma nitriding, プラズマ窒化法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실시하는 질화 처리. 이온 질화를 참조. 플라즈마 침붕, plasma boriding, プラズマ浸硼 음극 역할을 하는 열처리 부품과 양극 사이에서 형성되는 글로우 방전을 이용하여 저압의 가스 속에서 실시하는 침붕 처리. 플라즈마 침질 탄화, plasma nitrocarburizing, プラズマ浸窒炭化法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실시하는 침질 탄화. 플라즈마 침탄, plasma caburizing, プラズマ浸炭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실시하는 침탄 처리. 플라즈마 침탄 질화, plasma cabonitriding, プラズマ浸炭窒化法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실시하는 침탄 질화. 피닝, peening, ピ-ニング 표면을 가공 경화시키면서 다듬질 효과를 부여하는 가공법. - 88 -

피라니 게이지, Pirani gauge, ピラニゲ-ジ 진공로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 PF시험, PF test, PF試驗 PF는 penetration-fracture의 머리 글자로서, 경화 깊이 파면 입도 시험. 피크랄 부식액, picral etchant, ピクラル腐食液 현미경 부식액으로 피크린산 2~5%를 함유한 알콜 용액. 피트로, pit furnace, ピット爐 수직으로 설치되어 위쪽 개폐문을 열고 부품을 장입할 수 있는 배치로. 픽쳐 프레임, picture frame, 白ぶち 흑심 가단 주철의 파면에서 파면의 테가 희고 내부가 검은 부분.

하베이징, Harveyizing, ハ-ベイ法 방탄용 두꺼운 강판의 침탄 표면 경화법.



하부 베이나이트, lower bainite, 下ベイナイト Ar"점 부근에서 오스템퍼링했을 때 생기는 침상의 베이나이트. 하부 어닐링, under annealing, アンダ燒なまし 아공석강을 Ac1점과 Ac3점 사이의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는 어닐링 처리. 하부 임계 냉각 속도, lower critical cooling rate, 下部臨界冷却速度 강의 퀜칭에서 최초로 마르텐사이트가 나오기 시작하는 최소의 냉각 속도. 하이드라이징, hydrizing, ハイドライジング 수소 가스 중에서 강재를 가열하여 강 표면의 산화를 방지하는 처리. HAZ 균열, HAZ crack, ハズ割れ 용접 제품의 열영향부에 생기는 균열. HAZ는 열영향부를 의미하며, heat affected zone의 머리글자이다. 하트만선, Hartmann line, ハルトマン線 소성 변형에 의해서 금속의 표면에 규칙적으로 배열한 여러개의 선(뤼더스 선). 한제, cryogen, 寒劑 서브제로 처리할 때 사용하는 냉각제. 한제 열처리, cryothermal treatment, 寒劑熱處理 서브제로 처리. - 89 -

합금 탄화물, alloy carbide, 合金炭化物 강 중에서 탄소와 합금 원소와의 탄화물. 예로 Cr7C3, V4C3 등이 있다. 핵, nucleus, 核 새로운 상을 생성시킬 수 있는 조직적으로 처음 나타나는 안정한 미소 입자. 핵생성, nucleation, 核生成 특정한 위치에 새로운 상의 생성. 호모 처리, homo-treatment, ホモ處理 증기에 의해 강재 표면에 산화 피막을 형성시키는 처리. 증기 처리를 참조. 호스폴법, horsefall process, ホ-スフオ-ル法 퀜칭과 템퍼링한 강선을 상온에서 인발하는 벙법. 혼립, duplex grain size, 混粒 결정립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결정립이 섞여 있는 조직. 화학 열처리, thermochemical treatment, 化學熱處理 표면층의 조성을 화학적으로 변경하여 표면 성질을 변하게 하는 열처리. 확산, diffusion, 擴散 물체 내에서 원자의 이동 현상. 확산 경화, diffusion hardening, 擴散硬化 확산을 이용하여 강의 표면을 강화하는 처리. 확산 계수, diffusion coefficient, 擴散係數 확산 속도를 규정하는 계수. 확산 노르말라이징, diffusion normalizing, 擴散燒ならし 확산 현상을 이용하여 주조품에 생긴 편석과 강괴 속의 수지상 조직 등을 소멸시키는 열처 리. 확산 변태, diffusional transformation, 擴散変態 확산이 수반되는 변태. 확산 어닐링, diffusion annealing, 擴散燒なまし 편석을 제거하여 균질화시키는 어닐링. 환원 불꽃, reducing flame, 還元火災 산소 아세틸렌 용접시 아세틸렌이 과잉 상태일 때 생기는 환원성 불꽃. 환원제, reducing agent, 還元劑 열처리할 때 탈탄 또는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노내 환원성 분위기를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 90 -

매체. 회냉, ash cooling, 灰冷 재(災) 속에서 천천히 냉각하는 처리. 회복, recovery, 回復 냉간 가공된 금속을 어닐링할 때 냉간 가공 효과를 감소시키는 재결정 단계 앞에 일어나는 현상. 회색점, dark spot, 灰色點 인장 시험편의 파단면에 나타나는 회색의 원형 부분. 회전 가열, spin heating, 回轉加熱 불꽃을 고정시키고 물품을 회전하여 가열하는 방법. 회전 경화, spin hardening, 回轉燒入れ 불꽃을 고정시키고 물품을 회전하여 가열 경화하는 처리. 회전상로, rotary hearth furnace, 回轉床爐 노체를 회전시켜 소형 부품을 균일하게 침탄시키는 열처리로. 횡단 균열, transverse crack, 橫斷割れ 압연 제품이나 용접 제품에서 압연 방향 또는 용접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발생하는 균열. 후가열, post heating, 後加熱 용접후 용접 부분만을 가열하여 연화시키는 처리. 후처리, post treatment, 後處理 가공한 제품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행하는 열처리. 흑색 파면, black fracture, 黑色破面 흑연화한 강에 나타나는 흑색 파면을 의미하며, 강의 흑연화를 검출하는 수단으로도 이용한 다. 흑색 피막 처리, black oxide finish, 黑染ゆ 강의 표면을 흑색의 산화철로 피복하는 처리. 흑연, graphite, 黑鉛 탄소의 한 형태. 흑연 취성, graphite embrittlement, 黑鉛脆性 흑연화할 때 생기는 취성. 흑연 탄소, graphite carbon, 黑鉛炭素 흑연으로 되어 있는 탄소. - 91 -

흑연화, graphitizing, 黑鉛化 탄화물이 흑연으로 변화하는 현상. 흑연화 어닐링, graphitizing annealing, 黑鉛化燒なまし 탄화물을 흑연으로 분해시키기 위한 어닐링. 흡열형 가스, endothermic gas, 吸熱型ガス 연료 가스에 일정한 비율의 공기를 혼합하여 외부 가열로를 이용하여 흡열 반응에 의해서 만든 가스.

- 92 -